東坊哲學院

사주명리 732

辰土

【동물, 자원字源, 특성 등】 ▣辰土는 하늘의 기운인 戊土의 힘을 얻어 땅이 옷(衣)을 입었다는 의미이다 ▣辰은 용龍을 의미한다 ⦿辰土(용)는 힘과 권위를 상징하고 능수능란한 재주를 피우는 존재로서 무소불위의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만물의 무궁무진하게 변화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용은 모든 동물의 특징을 가진 종합 동물이다. 눈은 토끼, 머리는 낙타, 코는 돼지, 몸통은 악어 또는 뱀, 발은 호랑이, 발톱은 매 ⦿변화와 등용문을 의미한다. 신분 상승을 위한 욕망이 많은데(대운), 변화를 위한 과도기로서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많다 ▣辰月이 되면 대기 중에 陽氣가 퍼지기 때문에 더 이상 지상의 모습(음기)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辰月은 청명지절이라 하여 하늘이 내려와 땅과 맞닿..

묘목(卯木)

[卯木] 【개 요】 ▣寅木은 木의 가능성으로 시작의 에너지인데 반해, 卯木은 木의 실체화로서 끝의 에너지이다 ※寅申(생지) 충은⇨ 애들의 싸움으로 유시무종有始無終인데 반해, 卯酉(왕지) 충은⇨ 어른 싸움으로 치열 ▣寅木(陽木)은⇨ 水와 木으로 변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水를 끌어당기는 힘이 강한데 반해, 卯木(陰木)은⇨ 水가 이미 들어온 상태로서 습하기 때문에 水를 끌어당기는 힘이 寅木에 비해 약하다 ⦿寅亥 合(水生木)의 경우⇨ 寅木은 주도적으로 亥水의 水氣를 무한정으로 받아들이려 하기 때문에 자칫 水生木이 과하여 사고가 난다 ⦿亥水+ 卯木의 경우⇨ 이때는 卯木이 亥水의 水氣를 빨아 들인다기 보다는 亥水가 자연스럽게 卯木으로 스며들어가는 과정으로 卯木은 亥水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이때의 卯木에는 이념과..

관살병용(官殺竝用)

▣관살병용官殺竝用⇨ 官과 殺을 모두 병용하여 쓴다는 것 ◉계선편에서는 "세월 시중에 대파는 관살이 혼잡이라(세월시대歲月時大 관살혼잡殺官混雜)"하여 관살이 혼잡되어 있으면 대단히 싫어하므로 거살유관去殺留官 또는 거관유살去官留殺을 환영하는데, 이곳에서는 그와는 달리 도리어 관살이 혼잡 되어 있음을 병용하여 대길 하다고 반론을 들고 있다. ◉이 論은 궁통보감 八月 庚金論 주에서 말하고 있는데 그 학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八月 庚金은 월원月垣이 고금固金으로써 庚金의 양인이 병령하고 있다. 金氣가 최고로 강예剛銳하여 있고 때는 심추深秋로써 바야흐로 한기가 점진하고 있다. ▬고로 모름지기 丙. 丁을 병용하게 되는데, 그 丁火로써는 庚金을 하야(冶)하고 다시 丙火는 태양지기 이므로 한기寒氣를 해제하게 되는 ..

인목(寅木)

[寅木] ▣『寅』은 임산부가 막 출산을 하려는 상황 또는 두 손으로 활의 시위를 당기는 모습으로 시작, 나오다, 새롭다, 전진하다”의 의미 이다. 이외에 “이동하다(이移), 새운다, 펼친다(연演)”의 뜻도 내포되어 있다 ※『연演』은 『水+寅』으로서 지식과 지혜가 널리 퍼진다는 뜻 ▣주역의 괘상으로는 지천태괘地天泰卦(삼양삼음三陽三陰, 웅크리고 있던 것이 서서히 몸을 풀어 기지개를 펴는 모양)를 나타낸다 ⦿지천태괘는 64괘 중에서 음양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진 이상적인 형태로서, 하강하려는 특징이 있는 양기와 상승하려는 음기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어 하늘과 땅이 화합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삼양三陽과 삼음三陰이 괘를 이루고 있는 申金(삼양삼음三陽三陰, 천지비 天地否)은 양기는 양기대로 하늘로 올라가..

거탁유청(去濁留淸)

▣거탁유청去濁留淸⇨ 사주에 탁기와 청기가 혼합되어 있다가 탁기는 去하고 청기淸氣만이 유존되어 있다는 뜻이다. ◉“탁”이라 함은⇨ 이물이 혼합하여 서로 어울려지지 아니함을 말하는 것이니, 예를 들면 물에 흙이 합하여 어울리지 못하고 물이 흐려지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청”이라 함은⇨ 一物로써 또는 二物이 있어도 순수하게 잘 어울려져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거탁유청이라 함은 그 탁이 되는 물을 제거하면 다시 청은 留하여 吉해진다는 뜻이다. ▬궁통보감에 거탁유청이라는 예를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凡 五.六月에 乙木이라면 木氣가 점점 퇴하고 고초枯焦하여 癸水를 用하려 할 때 사주에 戊己가 있으면 난잡해지며, 탁으로써 하격이 되는데, ▬혹 甲木이 투간 되어 있으면 제복토신制伏土神하여 癸水가 유..

축토(丑土)

[丑土] ▣丑土는 음양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 가운데 子水의 기운을 머금고 있어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을 때이다 ▣丑土는 오행 상으로 土이지만 지장 간에 土, 金, 水(己, 辛, 癸)의 오행을 포함하고 있어 체體와 용用을 변화시키는 매개체로서 작용을 한다 ▣丑土는 水生木의 오행운동이다. 子水가 寅木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丑土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 가는 정류장과 같은 개념이 된다 ▣천간의 壬, 癸水와 지지의 亥, 子水가 土로부터 剋을 받는 현상을 體와 用의 개념에서 풀이를 해보면 ⦿戊土가 壬水를 극하는 것은⇨ 體를 극하는 것이기 때문에 몸이 아프거나 외형적인 행태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이고 ⦿己土가 癸水를 극하는 것은⇨ 用이 극을 받는 것으로서 정신적인 극제작용이 되어 진로가 흔들리고 판단력에 문제가 생..

거류서배(去留舒配)

▣거류서배去留舒配⇨ 去할 자는 去하고, 留할 자는 留하고, 짝이 되는 자는 짝을 지어 殺. 官이 잘 조정되어 있다는 뜻이다. ◉거류서배”란 去하는 자, 留하는 자, 서배(짝 짓는 것)하는 자로써 三者가 있어야 된다. ◉다시 말하여 殺이 둘에 官이 하나라던가 아니면 官이 둘에 殺이 하나라던가, 이렇게 三者로 구성되는 것인데, 殺이나 官 중에 하나는 충 또는 극을 당하여 去하고, 관살 중 또 하나는 합이 되어 있고, 또 관살 중 하나는 머물러 있는 경우를 말하여 거류서배라고 한다. ◉이와 관련, 거관유살이나 거살유관은 官과 殺이 거류 2종으로써 성립 되었지만 이 格은 서배가 하나 더 있어 3종으로 이루어 는 것이 차이점인 것이다. ◉따라서 조정이 잘못된 命은 관살이 셋씩이나 있어 관살 혼잡하기 때문에 신약하..

계수(癸水)

【癸水】 1.성질과 모양→연애. 이중성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이다. 안(밀회장소)과 밖(운치)이 다르다. (겉과 속이 다르고 이중적인 모습을 가진다.) -지혜로운 사람, 수리에 밝은 사람, 계산적인 사람이다. -비, 안개, 구름, 서리, 눈물, 이슬, 아지랑이, 습기, 샘물 등 -자선사업, 숨은 후원자, 인격수양, 감춰진 질투심을 뜻하기도 한다. -스님, 목사, 신부 등 종교인이나 조용히 뒤에서 후원해 주는 교육자 스타일이다.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자선사업을 하는 무기명 후원자이다. -원국이나 운시에 계수가 있으면 욕심이나 질투심이 많다. -욕심이 많아 주변에 내세우고 살고 싶어 하고, 여자는 남편에게 바라는 것 이 많다. -여름 더울때의 癸는 만인에게 필요한 존재이다. 2.행운 -원국..

자수(子水)

【子水】 ▣子水는 씨앗을 의미하며 시작, 처음의 뜻이 있다. 또한 낳는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만물의 잉태를 의미한다. 이외에 정지성, 무동력, 자제력의 의미가 있는가 하면 때가 될 때까지 기다리는 인내력과 결코 드러내지 않은 은밀함이 있다 ▣자의字意는⇨ 머리가 크고 손발이 작은 갓난아이의 형상이거나 또는 “아이벨 잉(孕)”의 한자에서 밑에 있는 아들 “子”字를 띠어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子水는 원래는 큰물이지만 부피를 최소화 한 것으로서 생명을 나타내는 씨앗, 응축된 물(정액 등), 시작 등을 의미 한다 ※만물의 어머니로서, 세상만사는 水에서 시작하여 水에서 끝이 난다. 즉 子水는 “끄트머리”라는 표현으로 끝과 머리(시작)를 나타낸다 ▣子水부터 巳火까지는 양의 작용이기 때문에 子水는 의욕이 누구보다..

임수(壬水)

【壬水】 1.성질과 모양→법(法). 책임감 强. 희생적. -큰물(바다, 호수, 저수지 등), 흐르는 물, 깨끗한 물(淸水) -역마, 여행, 출장, 관광 등 움직이는 의미를 갖고 있다. -법과 관련된 직업, 법률가(판검사, 법무사)에 壬일간이 많다. -규정대로 법대로 하는 성향이 있고 책임감이 강하다. -큰물이라 박식하고 지혜롭고 창의적이며 외향적이다, -외향적으로는 조용하고 변화에 초연하지만 내부로는 유동적이고 상황에 따라 변화가 심하다. -장거리 여행을 좋아 하며 선진국 보다 오지여행, 호텔 보다 민박을 선호. 2.행운 -임수 대운은 대체로 돌아다니는 역마대운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학생이라면 공부는 잘 안 하고 돌아다니고 직장인은 지방이나 해외출장이 잦다. -사업가는 무역업 등을 하면서 사무실은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