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사주명리용어해설 56

명궁(命宮)의 중요성과 활용법

命宮이란 自身宮을 말함인데 命宮을 卯로서 기준하게 된 이유는 卯는 東方之正木이요 木은 仁이요 仁은 壽요 壽는 命인 까닭이고 身宮은 酉가 되는데 이유는 酉는 西方之正金이요 金은 義요 義는 宜가 되는 까닭이다. 또 命宮은 爲受胎之初며 木主는 仁이요 仁은 生生之意가 있는 것이고 身宮은 爲受胎之後며 金主는 義요 義는 有成之意가 되므로 身命은 生成之道의 源泉이 된다. 따라서 命宮을 중요시 하는 것은 이 때문인데 이것을 비유하여 말한다면 神이 社廟에 살면 人은 房室에 사는 것과 같고 靈魂이 靈府에 거한다면 人生의 命은 命宮에 居함과 같은 것이니 그 命宮은 그 命의 居室로서 命의 起居 動作 集散 進退와 萬般造化 등 그 모두가 여기에 근거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을 탐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

천관지축(天關地軸)

다음의 설명은 이석영 저 “사주첩경”에 설명된 내용입니다. 問: 天關地軸이란 무엇인가? 答: 乾(戌亥)*坤(未申)이 주중에 구전(俱全)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註: 乾은 西北之界 戌亥요 坤은 西南之界 未申을 말하고 있는데, 그 乾 戌亥를 天門 즉 天關이라 하고 坤 未申을 地戶 즉 地軸이라고 하고 있다. 천관지축은 다시 간단히 말하여 주중에 戌亥나 未申이 있어야 되는데, 천문에서 戌이나 亥자 하나만 있어도 천관이 성립되고, 지호에서도 申이나 未 하나만 있어도 지축은 성립되는 것이다. 이 格은 기취건곤(氣聚乾坤)으로 천지의 정기가 취합된 형상으로 명동천지(名動天地) 하리만큼 부귀한다고 하는데 그렇다고 무조건 천관지축만 주중에 놓여 있으면 고귀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格 역시 格局 用神이 잘 구성되어 있..

춘양조열(春陽燥烈)

▣춘양조열春(陽燥烈)⇨ 春節에 양기점왕(陽氣漸旺)하여 火氣가 강열하므로 건조하다. ◉춘양조열이란 寅. 卯. 辰月을 말하는데, 이때는 양기가 점점 강열하여 건조된 때이므로 "춘양조열"이라 한다. 고로 寅. 卯. 辰月生이 사주에 火星이 많고 水氣가 없으면 이에 해당이 된다 ◉이렇게 되면 모든 만물이 조고(燥高)되는 상으로 불기(不奇)하게 되며, 이에 수근(水根)이 있거나 습토(辰土나 丑土)가 있으면 조열한 火星은 그 습토에 火生土하여 회기하게 되므로 조습한우가 조화 되어 귀히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춘양에 대하여 생각할 점은 寅. 卯月 多火는 그 火가 寅. 卯에 근하여 火氣가 장생하므로 조열로 보지만 ▬만약 多金 또는 多水生이 寅月이라면 아직 陽氣가 존재하여 있는 중 金. 水는 습량지기가 있으므로 도리어..

회동제궐(會同帝闕)

♣회동제궐(會同帝闕)⇨ 戌. 亥를 회동하였다 1.회동이란 회합을 같이 하였다는 뜻이요 제궐(帝闕)은 나랏님(왕)이 사는 궁궐(戌亥)을 말하는 것으로서 회동제궐이란 나랏 님이 사는 궁궐 즉 戌. 亥를 사주에 갖추었다는 뜻이 된다. ※왜 戌. 亥를 제궐(帝闕)이라고 하는가 하면 戌. 亥는 天門으로써 天의 관문이 되는 것이요, 인간 세계에서는 나랏 님이 천제의 존재와 같은 것이므로 나라님을 천자를 붙혀서 “천황이다, 천자다, 천왕이다” 라고 칭호를 하게 되며 또 天門은 제궐로 칭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2.그러므로 사주에 戌亥 天門이 있으면 귀히 되어 궁궐에 출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무조건 戌亥만 있으면 그렇게 귀히 된다는 것은 아니고 官․印 관계라던가 그 격국 용신이 잘 짜여져 있음에 좌우되..

강휘상영(江暉相映)

우리말 사전에 보면 "강휘상영"을 "십간(十干)중 壬水가 丙火를 보는 사주, 반짝이는 강물위에 태양이 떠 있어 더욱 아름답다는 뜻"이라고 되어 있다. 보통 壬水와 丙火가 만나면 丙壬冲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사주추명의 일반적인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떠한 경우는 壬과 丙이 잘 만나면 아름다운 조합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이른 새벽에 바다에서 수평선을 힘차게 뚫고 불끈 솟아오르는 태양을 맞이하는 그기분을 연상해 보시기 바란다. 황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丙은 태양이고, 壬은 어둠이고 호수이며 바다이다. 태양은 어둠을 뚫고 올라올 때의 일출과 황혼에 바다로 떨어지기 직전의 일몰모습이 환상적이라고 할 수 있듯이 陰陽의 조합에서도 그 아름다움은 그야말로 한폭이 그림이다. 이러한 모습, 壬과 丙..

형전형결(形全形缺)

▣형전형결(形全形缺)⇨ 형전은 사주 오행의 形이 완전한 것 형결은 사주 오행의 形이 결함된 것 ◉사주 오행의 形이라 함은 甲. 乙의 경우⇨ 木形, 丙. 丁은⇨ 火形, 戊. 己는⇨ 土形, 庚. 辛은⇨ 金形, 壬. 癸는⇨ 水形인데 ▬그 形이 완전(形全)하다는 뜻은 甲. 乙木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丙. 丁火 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그 形이 완전치 못하다(형결)함은 가령 戊. 己土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庚. 辛金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形이 완전 하다는데 속하는 것은 형전이라 하고 形이 완전치 못하는데 속하는 것은 형결이라 한다. ◉그런데 이상의 “전”이나 “결”이 모두 偏이된 격이므로 이것을 모두 중화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인데, 그 강한 자..

탐재괴인(貪財壞印)

▣탐재괴인(貪財壞印)⇨ 財를 탐내어 인수가 파괴된다는 뜻이다. ⦿인수는 생아지신(生我之神)이요 財는 아극지신(我剋之神)인데, 그 財는 인수를 극한다. ▬그런데 인수는 文星. 교육. 종교성이요, 財는 재물이므로 財旺즉 文星이 몰하고, 文星이 旺함은 財가 없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돈 많은 부자는 글이 풍부하지 못하고 글이 많은 학자는 돈이 풍부하지 못한 원리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고로 학자나 문인이 재물을 탐하면 명예가 손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수 용신(신약사주)으로 이루어진 官公吏는 財운이 오면 재물(수뢰)죄를 범하기 쉬운 것이다. ⦿가령 甲日의 인수는 水요 財는 土인데, 그 土財는 水印綬를 극하기 때문에 인수가 용신으로 선정되었을 때 柱中에 財가 있으면 그것을 "탐재괴인"이라 하여 병으로 취급..

파료상관(破了傷官)

▣파료상관破了傷官⇨ 傷官星이 손상되었다 ⦿상관이 손상되었다는 뜻은 상관상진과 다를 바가 없으나, 그 사용하는 면에서는 양자가 서로의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상관상진은⇨ 상관으로 신약한 사주의 경우, 상관을 어느 정도 극제 함으로서 일간을 보호하는 것이고 ▬파료상관은⇨ 신왕한 四柱에서 상관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인수 운이 들어오면서 그 상관을 파괴시켜버리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관상진은 길하게 되는 것이요, 파료상관은 大凶하기 때문에 연해자평에서도 "상관상진에 최위기(最爲奇)라" 또는 "파료상관에 손수원이라.(破了傷官에 損壽元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주로 상관상진을 요하는 신약 상관왕 사주를 진상관이라 하고, 또 파료상관을 겁내는 신왕 傷官弱 사주를 가상관이라고 하는데 ⦿명리정종 상관론에서 "..

철쇄개금(鐵鎖開金)

▣사주팔자의 원국에 日支를 포함해서 地支에 卯, 酉, 戌이 2개 이상이 있을 경우에 이를 철쇄개금이라고 하는데, 자평진전에 "卯酉戌 三者逢 鐵鎖開金"이라는 귀절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보이며 推命歌에서도 "철쇄개금 卯酉戌은 活人業과 인연 있네"라고 불리어 지고 있다. ▣鐵鎖開金이란 사주에서 잠겨 있는 자물쇠를 열쇠로 여는 것과 같은 역할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철쇄개금이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활인업 즉 의료인, 종교인, 역술인등의 직업군과 인연이 깊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실무에서 직업추리에 있어서 적중률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성정을 추리해보면 겉으로는 부드러운 듯하지만 내면의 성정은 냉정하고 차가운 성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두뇌회전도 남다르며 앞을 내다보는 선견지명도 ..

축수양목(蓄水養木)

▣축수양목(蓄水養木)⇨ 물을 간직하여 나무를 키운다 ◉물을 간직하는 곳은 十二지지 중에서 子中 癸水․ 丑中 癸水․ 辰中 癸水․ 申中 壬水․ 亥中 壬水로써 다섯 곳이 있다. ▬그러나 亥. 子는 水로써 외부에 물이 나타나 있는 것이 되어 眞으로 축수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고 眞으로 깊이 간직한 곳은 丑中 癸水와 辰中 癸水 밖에 없는 것이다. ▬申中 壬水가 간직되어 있다고 하나 ,그 본질은 金이 되어 剋木하므로 그것은 축수양목이 아니라 축수극목蓄水剋木이 되는 것이 되어 眞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인데, 만약 申中 壬水가 투출되어 甲. 乙木을 生하면 그때는 축수양목이라고 볼수 있는 것이다. ◉養木이란 木을 生한다는 뜻인데 ▬그 生함에는 반드시 자기의 목적이 있는 것이니 그 木을 養하여 제살(制殺)한다던가 아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