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사주통변시 참고사항 73

도화살(桃花殺)에 대한 고찰

1.도화살은 年殺로 三合의 첫 자인 地殺 다음 字다. 浴宮이요 咸池殺이다. 2.도화살은 地殺 다음 字다. -돌아다니다 바람을 피운다는 도화살은 지살 다음 자다. -노인들이 옹기그릇과 여자는 내돌리면 바람이 들어 깨진다고 한 말이 이를 두고 한 말이다. 3.도화살은 붉은 복숭아꽃으로서 연못 咸池(함지)에 비유한다. 도화살은 붉은 복숭아꽃으로서, 가물거리고 촉축한 연못 함지에 비유한다., 실제로 바람이 들어 살이 그리워지면 얼굴이 붉어지고 입가에 침이 고이며, 특히 눈의 흰 창이 붉게 충혈이 되면서 눈 어미가 촉축하게 젖는다. 4.도화살이 있는 남녀는 -사교적인 성품으로 항상 명랑항고 친절하며 우호적이다. -고급관료 부인이나, 사교가 필요한 사업가는 桃花가 있어야 인기가 있고 유능하다. -특히 외교관이나 서..

양인살(羊刃殺)에 대한 고찰

[羊刃의 특성] 比劫으로 奪財하는 劫財요 合殺하는 恩星이다. 1.양인살은 법을 집행하고 刑을 주관하는 權力殺이다. 大人에게는 위권이 되고, 小人에게은 刑厄이 된다. 2.앙인과 七殺 양인은 칼이고 칠살은 방패라 서로 조화를 잘 이뤄야 濁命이 淸命이 된다.. 양인살이 칠살을 만나 성격하면 고난을 극복하고 명진사해하며, 有刃無殺이면 평범한 사람으로 한 가지 기술을 익혀야 삶이 편안하며, 만약 기술을 익히지 않으면 그 삶이 곤궁하다. 3.양인살의 性格 양인살은 성격적으로 자만심이 강하고 비시교적이며 안하무인격이다. 보수적이고 독선적이라 적이 많고 고립되기 쉬우며 언어가 거칠고 비판적이다 4.양인살은 가정적으로 부모, 형제, 처자, 부군을 剋하고 불신하는 살이다. 부부간에 의심하고 다투다가 이별하기 쉽다는 살이다..

쌍둥이 사주

명리탐원(命理探原)에 이르기를 사주는 中和됨을 제일로 여기는 고로 쌍동(雙童)이 사주에 身强하면 아우가 형보다 잘 살고 身弱하면 형이 아우보다 잘살며 中和를 이루면 형제가 사는 것이 비슷하다고 하였다. 이 말은 같은 날에 출생 하였어도 형이 아우보다 强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주까지 强하면 더욱 强해진 것이니 弱한 아우가 中和에 가까운 것이요 아우가 형보다 弱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주까지 弱하면 더욱 약해진 것이니 형이 中和에 가깝다는 이치를 말한 것이다. 或者는 쌍둥이 사주를 年月로 형을 삼고, 日時로 아우를 삼아 본다 하며 혹 大運을 順逆으로 본다하고 혹 천간과 지지를 合한 오행으로 바꾸어 본다는 理論을 말하는 이가 있으나 古典중에 이 같은 理論이 있는 것을 筆者로서는 알지 못하며 오직 중화지도(中..

물이 많은 팔자

[乾命] 시 일 월 년 癸 戊 癸 癸 亥 戌 亥 亥 ※물이 많다. 섬이다. 6.25때 부산으로 피난을 잘했다. -火土가 필요하면 남쪽으로 가야 좋다. -그런데 9.28 수복 때 북상했다, 북쪽이니까 水를 따라서 왔다. 조치원까지 오다가 민가에 물(水) 얻어먹으러 갔더니 검둥이(水)가 나오더라. -여자 건드리고 나오던 검둥이가 총으로 쏴서 죽였다 한다. ▶여자, 물, 검둥이, 北上, 水 때문에 세상을 마친 팔자이다. *물이 많은 팔자는 물 때문에 죽는다. 물이 탈이다.* *불이 많은 팔자는 불 때문에 죽는다. 불이 탈이다.* 발췌: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암행어사 박문수

[乾命] 시 일 월 년 乙 己 戊 辛 辛 壬 癸 甲 乙 丙 丁(대운7) 丑 未 戌 未 卯 辰 巳 午 未 申 酉 암행어사 박문수(朴文秀) 1691녀 음력9월8리 丑時생.[63세 1753년 사망] 丑戌未 三刑殺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사주의 격이 떨어지면 감옥에 가거나 장애인이 되기가 쉽겠지만, 이 사주는 시상일위귀격(時上一位貴格)을 이루었고, 연간 辛金으로 충분히 제살(制殺)되었으므로 법을 다루는 명관리가 되었던 것이다. 1753년(癸酉년) 63세에 종명(終命)하게 된 이유는 木이 희용(喜用)이고 金이 기신(忌神)인 바 金이 강해져서 절목(折木)된 것이고 대운이 사고전비(四庫全備)이니 어쩔 수 없는 운명이다. 출처: 학산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

이순신 장군 사주

[乾命] 시 일 월 년 戊 辛 己 乙 甲 乙 丙 丁 戊 (8대운) 子 丑 卯 巳 戌 亥 子 丑 寅 민족의 성웅 이순신(李舜臣) 제독. 서기 1545년 음력 3월 8일 子時생(54세 1598년 음력 11월 19일 辰時 전사) 임진왜란에서 조선을 지켜낸 세계적인 해군 명장인 이순신 장군의 사주는 월지 사령이 乙木이라 본래 재백격 사주이지만 연지에 巳중 丙火 관(官)이 있어 한 계단 저 높은 재관격의 사주 즉 고위직에 오를 수 있는 구조이다. 신약할 것 같으나 천간에 戊己土가 좌우에서 생하며 일지에서도 생하니 신왕재왕하고 글자 한자도 옮기기 힘든 절묘한 구조다, 돌아가신 54세 때의 간지는 다음과 같다. 戊戌년 甲子월 辛丑일 壬辰시(혹 卯시). 출처: 학산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

갑술일주(甲戌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戌을 만나면

1.偏財(편재): 가을나무, 無根(뿌리 못한다. 燥土이므로) 土多木折 2.傷食庫(상식고): 자손들이 몰려온다. 자식 끼고 산다. 3.甲戌일주는 뿌리 못하고 있는 나무이다. -여자는 남의 자식 키워 주고 두 성의 자식을 낳는다. -傷食庫藏으로 애가 들어서기도 잘 들어선다. 4.甲戌일주는 貪財欺夫(탐재기부) 일주다. 5.戌은 燥土이고 9월은 乾燥(건조)의 계절이다. -고로 가을 출생자는 건성 피부다. ▶살결이 하얀 사람은 모두 건성 피부로 보기 좋은데 만져보면 빳빳하다. ▶金은 쇳덩어리이므로(검은색 피부가 감촉 좋기로는 1등이다) 백납, 비듬, 냄새가 많다.(이것이 서양에 향수가 발달한 이유다. 황인종은 냄새가 좋다.) 6.戌은 燥土라서 -木인 바람과 함께 사라진다. -戌이 돈이라면 모래성 쌓기다. 잘 살만..

신왕관왕격(身旺官旺格) 사례

日主도 旺하고 官殺도 旺할 때다 1.이런 팔자는 장관이나 한 나라의 대통령이 되고, 양대에 정승(아들과 아버지가 모두 국무총리 같이 잘 되어 있는 것)이며 2.여자는 정경부인이다. 3.官殺이란 나를 剋하고 들어오니까 剋我者가 관살로써 敵과 같은데 이런 경우는 적은 적이 아니라 貴星으로 군림한다. 시 일 월 년 丙 庚 辛 癸 戌 午 酉 丑 ※木인 財가 없으니 淸貴다. 得令, 得勢했으니 일주가 强하다 1)火가 필요하니 火剋金이 吉 작용한다. 2)癸가 있으니 강도 조절도 잘한다. 3)丙庚星이 있으니 음성 좋고 법정계다. 4)그런데 이렇게 신왕하면 독주하게 되고 만용을 부리게 되는데 이 사주는 균형이 이루어져 괞잖다. 즉 酉丑으로 힘을 얻어서 庚이 길을 가던 중 丙을 만났다. “너 火剋金으로 한번 당 해 볼래?..

선탁후청(先濁後淸)

시 일 월 년 甲 戊 戊 己 寅 辰 辰 巳 ※比肩,劫이 많으므로 배다른 형제가 있는데 寅辰木局이 되니 개천에서 용난 팔자다. 1.이런 팔자가 선탁후청(先濁後淸)의 팔자다. 2.比肩,劫이 많으니 가정, 집안 관계가 混濁한 팔자인데. 寅辰木局이 연결되니 3.甲寅木이 劫化爲官으로 벼슬이요 대들보이니 나라에 필요한 존재가 된다. 4.戊土인 산이 辰濕土에 있어서 나무 키울 만하고 巳가 있어서 양지이고 寅辰木局이니 산에 아름드리나무가 빽빽하게 들어서 있어서 한 나라의 보고(寶庫)가 된다. 5.甲木이 偏官이니 하루아침에 長官이 된다는 것이다, 만약에 乙木이라면 正官이므로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가야하고, 3.8목으로 장관이 되는데 38년 걸린다. -乙木이 甲木처럼 크려면 30년이 걸리니까. 만약 여자라면 甲寅木 서방이..

재살태왕격(財殺太旺格) 사주사례

시 일 월 년 ※乙辛冲에 토금인 財殺이 많아서 財殺太旺格이다. 己 乙 辛 戊 너무나 身弱해서 破格에 가깝다. 卯 丑 酉 辰 1.고로 만고풍상을 겪어야 하고 8월 나무에 열매가 많아서 가지가 찢어지기 일보직전이다. 2.乙辛冲으로 항시 뒤통수를 얻어맞고서 쫒기기 일보직전이다. 8월의 나무가 서리를 맞았다. 3.金木相戰으로 筋痛, 骨痛, 頭痛, 齒痛으로 痛字 항렬이다. 고로 매를 맞지 않아도 안 아픈 곳이 없이 아픈 팔자이다. 4.지구력, 인내력이 약하고 불안해서 鬼神, 官災口舌이 줄줄이 따라 다닌다. 화가 들어와서 火剋金으로 먼저 官殺을 제압해야 한다. 神들리기 쉬운 팔자 이다. 5.세상 살아가는 것이 바늘방석이다. 이 사주는 먼저 건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건강해야 모든 일이 제대로 돌아간다. 장가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