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명조는 학선 류래웅 저 “사주실록” p20에 수록된 사주해단 사례입니다.[坤命]庚 丁 辛 辛戌 巳 丑 卯28 18 08甲 癸 壬辰 卯 寅소한(小寒)후 6일이라 월지장간 사령이 癸水가 되니 편관격이다. 일지 巳중의 戊土가 제살을 하는 좋은 사주가 될 뻔 했는데 생월을 기준으로 보면 甲午순중이라 일지가 공망이고 생일을 기준으로 보면 甲寅 순중이라 월지가 공망이다. 이렇게 서로 공망이 되는 것을 일러 호공(互空)이라 칭하는데 일주가 호공이 되는 사람은 승려나 역술, 무속인이 되기 쉽다.이 여자는 25세 乙卯년에 신(神)이 내려 무속인이 되었다.(27세때 상담).출처 : 학선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 이 명조가 왜 巫俗人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다른 차원으로 다음의 4가지 측면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