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宮이란 自身宮을 말함인데 命宮을 卯로서 기준하게 된 이유는 卯는 東方之正木이요 木은 仁이요 仁은 壽요 壽는 命인 까닭이고 身宮은 酉가 되는데 이유는 酉는 西方之正金이요 金은 義요 義는 宜가 되는 까닭이다.
또 命宮은 爲受胎之初며 木主는 仁이요 仁은 生生之意가 있는 것이고 身宮은 爲受胎之後며 金主는 義요 義는 有成之意가 되므로 身命은 生成之道의 源泉이 된다.
따라서 命宮을 중요시 하는 것은 이 때문인데 이것을 비유하여 말한다면 神이 社廟에 살면 人은 房室에 사는 것과 같고 靈魂이 靈府에 거한다면 人生의 命은 命宮에 居함과 같은 것이니 그 命宮은 그 命의 居室로서 命의 起居 動作 集散 進退와 萬般造化 등 그 모두가 여기에 근거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을 탐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命宮은 활용면에 있어서도 광범위한 것이니 六親 用神 十二神殺 등 모두 대조하여 보아도 좋은 것이며 또 이것을 대조하여 새로운 경지를 탐구하여 볼만도 하다
그 活用의 예를 들면 사주의 印綬身旺格에 命宮이 官殺에 임하면 大吉하다든가, 또는 사주에 官을 작용하는데 官이 不足時 命宮에 官星을 이루어 吉하다든가, 또는 命宮에 驛馬가 있으면 사주에 驛馬가 없어도 海外 遍踏하게 된다든가, 또는 亥生子로서 桃花殺을 이루고 있는데 命宮에 卯가 되어 桃花刑을 이루어 임질, 치질 등 性病을 앓아 보아야 한다든가, 또는 命宮에 桃花가 임하면 好酒色하게 되는 例라든가, 또는 사주 身弱인 경우 命宮에 得長生하여 着根을 하였으면 大吉하게 되는 등 萬般參考를 經驗 統計하여 볼 필요가 있는 한 看法인 것이다.
■命宮活用例
1.丙寅년 二月 十六日 丑時生
辛丁壬丙
丑卯辰寅
이 사주는 2월생이나 春分후 출생이므로(淸明도 경과) 3월로 기준한다. 그리하여 命宮은 庚子
이 사주는 辰月 丁日生이나 辰中에는 尙有木氣요 寅卯辰 木局과 丙丁 二火 투출하여 寅木에 득세하고 있어 印綬身旺에 壬水 官이 부족하고 있다. 然인데 命宮 庚子는 子丑 子辰으로 水局이 結成되어 壬水의 源泉이 되고 있는 것이고 命宮 천간 庚金과 사주의 辛金이 生水하여 고갈된 水官을 돕고 있다. 그 壬水가 辰에 水藏되면서도 不絶한 것은 辰中 癸水와 丑中 癸水 그리고 丙辛化水의 공도 있겠지만 그 보다도 根本之功은 命宮 庚子의 源泉에 있는 것이다,
2.辛未 正月 二十五日 寅時生(雨水後 출생)
壬丁辛辛
寅卯卯未
命宮 庚子
庚子는 桃花요 日支 卯와 子卯로 相刑하고 있다.
丁壬化木 在寅時요 支地 木局全에 明宮 子水로 生木은 加美나 命宮 桃花刑으로 성병에 걸려 성생활에 신음하고 있는 것이다.
3.辛酉 七月 二十二日 午時 坤命(處暑後 출생 八月氣)
庚己丙辛
午未申酉
사주구성은 白露前으로 丙申月이나 命宮法은 處暑부터 八月氣 작용한다.
고로 命宮은 庚寅이다.
申月 己日로 失時하고 二干二支가 모두 庚辛申酉 金으로 泄氣太甚하고 있는 중 다행히 丙火透에 午未로 丙火 印綬가 得位(着根)하여 傷官用印格을 이룬다. 그러나 印綬가 좀 미약하여 있는 중 命宮 寅에 丙火 印綬가 得長生하여 더욱 좋아진다. 命宮 寅이 寅申으로 冲할 것 같으나 申酉가 合이요 寅午가 合하여 (生時와 命宮 貪合忘冲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傷官太旺에 印綬補强으로 좋아진 예이다.
4.壬戌 八月 十一日 亥時生(秋分後 출생으로 九月氣)
辛壬己壬
亥寅酉戌
命宮 戊申
命宮 申이 戌生에(寅午戌生 馬居申) 驛馬가 되어 日支 寅과 冲하고 있어 교통사고로 몸을 다쳤다. 酉月 壬日에 辛壬이 투출하고 酉戌이 金局하고 壬日主가 시지 亥에 祿根하고 命宮 申에 得長生하여 경미한 사고였다.
출처: 이석영 저 “사주첩경”에서 발췌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관지축(天關地軸) (0) | 2024.02.04 |
---|---|
춘양조열(春陽燥烈) (0) | 2020.08.07 |
회동제궐(會同帝闕) (0) | 2020.08.02 |
강휘상영(江暉相映) (0) | 2020.08.01 |
형전형결(形全形缺) (0)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