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전형결(形全形缺)⇨ 형전은 사주 오행의 形이 완전한 것
형결은 사주 오행의 形이 결함된 것
◉사주 오행의 形이라 함은 甲. 乙의 경우⇨ 木形, 丙. 丁은⇨ 火形,
戊. 己는⇨ 土形, 庚. 辛은⇨ 金形, 壬. 癸는⇨ 水形인데
▬그 形이 완전(形全)하다는 뜻은 甲. 乙木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丙. 丁火 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그 形이 완전치 못하다(형결)함은 가령 戊. 己土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庚. 辛金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形이 완전 하다는데 속하는 것은 형전이라 하고
形이 완전치 못하는데 속하는 것은 형결이라 한다.
◉그런데 이상의 “전”이나 “결”이 모두 偏이된 격이므로
이것을 모두 중화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인데,
그 강한 자는 손상시키고 그 약한 자는 보조해야 되는 것이므로
『형전자의손하고 형결자의보라(形全者宜損하고 形缺者宜補라)』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그런데 적천수에서 쓰는 「손(損)」은 용신법에 쓰는 「설상(泄傷)」과 같은 말이며,
또 적천수에서 쓰는 「보(補)」는 용신법에서 쓰는 「조(助)」와 같은 것인데.
이것을 일독하면 「억강부약抑强扶弱」이구로 현연명백顯然明白하여지나 이것을 구명하려면 매우 심오하여 명변강약(明辨强弱)과 또 그강이 변약하고 그 약이 변강하는 이치가 매우 번다하여 힘이 드는 것이다.
◉그러면 그 형전형결에 대하여 손보(損補)하는 법식을 기록하여 본다.
▬가령 甲. 乙木生人이 寅. 卯. 辰月에 출생하고 간투(干透 )庚. 辛에 지장(地藏)
申酉 金根이 있으면 이것을 木전형으로 손 하였다고 말하는 것이며,
▬또 丙. 丁火生人이 巳. 午. 未月에 출생하고 간투 壬. 癸에 지장 亥. 子水根이
있으면 이것을 火전형으로 손하였다 하는 것이다.(이상 土生金 동법)
▬또 반대로 戊. 己土 生人이 寅. 卯. 辰月에 출생하면 형결인데,
丙. 丁이 간투하고 지장 巳. 午 火根이 있으면
이것을 土 형결을 “보”하였다고 말하는 것이고,
▬또 庚. 辛金 生人이 巳. 午. 未月에 출생이면 형결인데,
戊土가 투간하고 지지에 辰. 戌. 丑. 未가 있으면
이것을 金 형결을 보하였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상 水. 木. 火 동법).
▬그런데 이 법은 旺은 “손”하고 쇠는 “보”하는 이치이므로
왕중변약(旺中變弱) 하고 약중변왕(弱中變旺)하는 이치인 것이다.
▶그러므로 강하여 보이나 柱中에서 “손”이된 사주는 약이 되므로
더 이상 “손”을 시켜서는 아니되고,
▶또 약하여 보이나 柱中에서 “보”한 사주는 强이 되므로
더 “보”를 시켜서는 안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것도 “손보(損補)와 “전결(全缺)"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없지 않아 있는 것이니
절대 일론으로만 고집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형전자의손하고 형결자의보라(形全者宜損 形缺者宜補)⇨ 形이 완전한 자는
마땅히 덜어주어야 하고 形이 완전치 못한 자는 마땅히 보태야 한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동제궐(會同帝闕) (0) | 2020.08.02 |
---|---|
강휘상영(江暉相映) (0) | 2020.08.01 |
탐재괴인(貪財壞印) (0) | 2020.07.30 |
파료상관(破了傷官) (0) | 2020.07.29 |
철쇄개금(鐵鎖開金)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