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전체 글 1282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格)

1.관인상생격이란 사주가 신약하고 관성이 왕한 때 印綏가 일주와 관성사이를 通關시키므로써 사주의 균형을 잡아주는 격국을 일컫는다. -주중에 정관을 인수가 통관시키면 관인상생 -주중에 왕한 칠살을 인수가 통관시키면 살인상생 또는 살중용인격이라고도 한다. 2 관인상생, 살인상생격이 이루어지면 -머리가 명석하고 학구적이며 공직자의 길이나 교육자의 길을 걷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사업을 하게 되면 부동산업, 건축, 숙박업, 임대업, 문화사업등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관인상생격은 印綏를 用神으로 쓴다. 만약에 신강사주인 경우는 식상이나 재관을 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3.살왕인왕(殺旺印旺)하면 큰 그릇의 명조로 보아 대부대귀한다고도 유추한다. 甲 戊 甲 戊 (乾) 寅 午 寅 子 살중용인격이기..

재물을 깨는 흐름

이사람은 재물복은 있나요?" 여자가 추위에 빨개진 귓볼을 만지작 거리다가 사주가 적힌 메모지를 내게 밀었다. "남편인가요?" 팔자를 힐끗 보며 여자에게 물었다. "이사람은 노래방 시작할 때 손님으로 만났어요. 몆년째 사귀고 있는 유부남이예요. 재물복이 있으면 이 분과 새 출발 하려고요." "재물복만 봐 드리면 되겠어요?" "7년을 사귀었으니 알건 다 알아요. 돈복이 있는 팔자인지. 앞으로 어떨지 봐 주세요." 여자가 한마디 덧붙였다."제가 취미로 역학공부를 오래 했어요. 팔자 볼 때 쓰는 용어들을 사용하셔도 대충은 이해할 수 있어요." [남자사주] 乙 丁 癸 壬 庚 己 戊 丁 丙 乙 甲 (4대운) 巳 卯 丑 寅 申 未 午 巳 辰 卯 寅 남자의 팔자를 다시 뜯어 보았다. 재물복이 없는 팔자요, 대운이다. ..

재명유기격(財命有氣格)

1.신왕재왕(身旺財旺)한 사주로서 사주에 재성이 旺하고 日主가 旺한 경우 재명유기격이라고 하며, 부자사주라고 할 수 있다. 재명유기격이 성립하려면 -일주가 뿌리를 내리고 힘이 있어야 하며, 재성 또한 뿌리를 내리고 천간에 투출하여야 한다. -일주가 뿌리가 없거나 재성이 뿌리가 없으면 성립되지 않으며, 재다신약하거나 군겁쟁재가 되면 성립이 안된다. 2.재명유기격이 잘 이루어 지면 -많은 돈을 갖고 활용할 수 있는 財的인 능력자라고 할 수 있고 -개척정신,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마인드와 창의성이 매우 강하다. -목표를 철저하게 설정하고 행동하는 실천력이 매우 강하며 한곳에 집중하는 집중력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3.재명유기한 사주인 경우 -일주와 재성을 비교해서 일주가 더 강한 경우에는 식신, 재성운에 발..

군겁쟁재격(群劫爭財格)

1.군비쟁재격이라고도 한다. 주중에 비견, 겁재가 많아서 財星을 놓고 다투고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2.군겁쟁재가 되면 양인살(羊刃殺)이 작용하게 되므로 극부, 극처, 손재를 겪게 되며 형제, 친구, 동업자 등으로 인해서 손해를 볼 확률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동업, 합자, 금전대출, 보증등을 삼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 하다. 3.군겁쟁재격인 경우에는 官殺운이 가장 좋은 운이 되며 식상으로 통관시키는 食傷운도 좋다.

정인(正印)과 편인(偏印): 인성(印星)

1印星의 정의 正印은 일간을 生하는 오행으로써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하며 偏印을 일간을 生하는 오행으로써 일간과 음양이 같은 오행을 일컫는다. ★편인은 효신(梟神)이라고도 하며 도식(倒食)이라고도 한다. 1)정인(正印) 정인은 학문, 지혜, 자비심 등을 의미하며, 예의 바르고 전통을 중시하며 윗사람을 공경하고 박식하며 학문을 좋아한다. 정인은 상관을 극제한다. 만약 정관이 상관에 의해서 퍄극될 경우에는 정인이 있어서 구제해야 좋다. 정인이 정재에 의해서 파극되면 가정이 위태로울 수 있다. 대운, 세운이 정인운이면 위기를 벗어나는 운이다. 표창을 받거나 명예를 얻게 되며, 직장일도 잘 풀리게 된다. 정인이 기신이면 손재하거나 명예가 손상되고 가정에 불화요인이 생긴다. 2)편인(偏印) 편인은 학문, 지..

정관(正官)과 편관(偏官): 관성(官星)

1.관성(官星)의 정의 정관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하며 편관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한다. 1)정관(正官) 정관은 명예, 권세를 뜻하고 정관은 길신이지만 너무 많으면 좋지 않고 칠살이 함께 있어도 관살혼잡이라고 하여 좋게 보지 않는다. 정관은 바른 생활을 하며 품위가 있다. 정관이 청하고 맑으면 공직자에 걸맞는 것으로 보며, 약하면 회사원으로 유추한다. 정관은 겁재를 제압하는 기능을 하므로 재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대운, 세운이 정관운이면 승진, 취직, 시험합격, 재물을 얻는 등의 좋은 운이다. 그러나 정관이 기신인 경우에는 실직하거나 불명예가 생기며 시험에도 안 좋은 결과가 생기는 것으로 본다. 2편관(偏官) 편관(칠살이라고도 함)도 ..

정재(正財)와 편재(偏財):재성(財星)

1.財星의 정의 偏財는 일주가 극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이고 正財는 일주가 극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이다. 1)정재(正財) 정재는 한푼두푼 모으는 정직한 재물이고 근로를 통하여 착실하게 저축하고 모은 돈으로써 낭비를 싫어하고 투기를 싫어한다. 정재격은 꼼꼼하고 회사원등 봉급생활자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대운 세운이 정재운이면 재물이 생기는 것으로 통변한다. 남자는 여자를 만나는 운으로 본다. 만약 정재운이 기신운이면 처와 사이가 안 좋아지고 손재한다. 정재가 정인을 극하면 가정에 불화가 있을 것으로 유추한다. 2)편재(偏財) 편법적, 투기적 재물을 뜻하는 것으로써 돈욕심이 많고 일확천금을 노리는 경향이 있으며 낭비벽도 있다고 본다. 아울러 사업가도 많다고 본다. 그렇지만 편재..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식상(食傷)

1.食傷의 정의 食神은 일주가 生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이고 傷官은 일주가 生하는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이다. 1)식신(食神) 한자의 뜻 그대로 먹을 복, 건강 장수, 활동력 등을 뜻한다. 여자인 경우는 자식을얘기하고, 식신이 사주에 적당히 있으면 평생 굶고 살지는 않는다. 그러나 효신에 의해 파극을 당하게 되면 막힘이 많게 된다. 식신은 칠살을 제압하는데, 사주에서 식신이 제살하게 되면 귀격으로 여긴다. 식신격인 경우 사업가, 요식업등 장사, 연구직에 어울린다. 대운, 세운에 식신운이 오면 건강이 회복되고, 재물을 얻고, 여성은 혼인운이 된다. 그러나 식신운이 기신이면 손재파산이 염려된다. 2)상관(傷官) 傷官은 正官을 극제하는 흉신에 속한다. 상관은 도기(盜氣)라고도 하며 설..

비견(比肩)과 겁재(劫財):비겁(比劫)

1.比劫의 정의 比肩은 일주와 같은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같은 것이고 劫財는 일주와 같은 오행으로써 일주와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한다. 1)比肩 분리, 독립을 의미하며 육친으로는 형제, 동료등 위치가 같은 사람들을 일컫는다. 비견은 편재를 극하며 따라서 비견이 많으면 부친과 처를 극하게 된다.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남의 밑에 있는 것을 싫어하므로 독립자영업, 전문직, 자유업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견이 많으면 동업은 실패하기가 쉽다고 본다. 대운, 세운에 비견운이 오면 초년에는 집을 나가거나 분가하게 되고 중년에는 직장에 다니다가 창업을 하게 되는 운으로 본다. 2)劫財 글자 자의가 말하듯이 재물을 겁탈한다는 의미이다. 육친으로는 경쟁자. 거래업체등을 의미한다. 비견에 비해서 재물을 겁탈하고 재성을 ..

병약상제격(病藥相濟格)

1.주중에 일주나 用神을 극상하거나 괴롭히는 病이 있고, 그 병을 제거하거나 구제하는 藥이 있으면 病藥相濟格이라고 한다. 2.병약상제격을 이루면 부귀를 누리는 대인의 삶이고, 주주에 병도 없고 약도 없으면 평범한 소인이 삷이다. 3.병이 없는 사주보다 병이 있는 사주가 오히려 좋은 까닭은, 병이 있어 시련, 역경을 겪으면서 고난에 대한 면역성을 길렀다가 좋은 운이 들면 신속하게 기회를 활용하여 성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병약상제격을 이룬 자는 어떤 역경과 시련이 닥쳐도 그것을 성공으로 인도하는 하늘의 축복으로 생각하고 인내하며 극복하는 특성이 있다. 4.병약상제격은 제거기병(除去其病)하는 藥운에 더 대성하지만 병중무구(病中無救)하는 病운이 재차 들면 실패함과 동시에 영원히 수저를 놓게 된다. [남자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