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 732

조후용신(調候用神)적용 사주통변 사례

[남자사주] 丁 庚 癸 壬 辛 庚 己 戊 丁 丙 乙 甲 (6대운) 丑 寅 丑 午 酉 申 未 午 巳 辰 卯 寅 ▣사주의 특징 -이사주는 먼저 용신 잡기가 조금은 난감할 수 있다. 한겨울 동토의 경금으로써 억부로 잡아야 할 것인지, 조후로 잡아야 할 것인지? -년월상의 壬, 癸水가 일간 庚金을 설기하고 시상의 丁火가 경금 일간을 조후하여 좋은 듯하나 실제로는 경금 일간이 눈보라치는 한 겨울에 추위에 떨고 있는 형국이다. -시상의 정화가 오화중의 정화에 뿌리를 내리고 땅의 열로 조후를 한다고는 하나 년월간게 있는 壬,癸水가 심하게 내리는 눈보라가 되기 때문에 丁火화 午火는 힘을 쓸 수가 없어 일간 庚金을 따뜻하게 해줄 조후가 부족하다. -년월간의 임, 계수가 旺하여 병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일간 庚金도 기신인 ..

회동제궐(會同帝闕)

♣회동제궐(會同帝闕)⇨ 戌. 亥를 회동하였다 1.회동이란 회합을 같이 하였다는 뜻이요 제궐(帝闕)은 나랏님(왕)이 사는 궁궐(戌亥)을 말하는 것으로서 회동제궐이란 나랏 님이 사는 궁궐 즉 戌. 亥를 사주에 갖추었다는 뜻이 된다. ※왜 戌. 亥를 제궐(帝闕)이라고 하는가 하면 戌. 亥는 天門으로써 天의 관문이 되는 것이요, 인간 세계에서는 나랏 님이 천제의 존재와 같은 것이므로 나라님을 천자를 붙혀서 “천황이다, 천자다, 천왕이다” 라고 칭호를 하게 되며 또 天門은 제궐로 칭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2.그러므로 사주에 戌亥 天門이 있으면 귀히 되어 궁궐에 출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무조건 戌亥만 있으면 그렇게 귀히 된다는 것은 아니고 官․印 관계라던가 그 격국 용신이 잘 짜여져 있음에 좌우되..

애인(愛人) 두는 남성

日支에 財星을 두고 日干이 타 干支의 財星과 合하는 경우 ☞ 적중률 높다. 양다리 걸친다. 애인을 둔다 ○ 戊 癸 ○ ○ 子 ○ ○ ★戊子 일주로 일지 子中癸水 正財와 月干 癸水 正財가 있다. →子中癸水와 月干 癸水와도 戊癸合한다. 둘중 子中癸水가 처다. →년주와 월주는 밖이므로 월간 계수는 상대적으로 愛人이 되기도 한다. ○ 壬 丁 ○ ○ 午 ○ ○ ★壬午 일주에 丁月이면 그림이 어떠한가? 1.일지 午中 丁火와 월간에 丁火 財星이 있다. →壬水는 일지 午中丁火와 丁壬 暗合을 한다. →배우자宮에 있는 午中丁火 財星은 처이다. 2.타간지인 月干에 正財 丁火는 애인이다. →壬水는 月干 丁과 干合인 丁壬合을 한다. →合을 함으로 인연이 닿게 되어 愛人이 된다. ※출처: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

강휘상영(江暉相映)

우리말 사전에 보면 "강휘상영"을 "십간(十干)중 壬水가 丙火를 보는 사주, 반짝이는 강물위에 태양이 떠 있어 더욱 아름답다는 뜻"이라고 되어 있다. 보통 壬水와 丙火가 만나면 丙壬冲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사주추명의 일반적인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떠한 경우는 壬과 丙이 잘 만나면 아름다운 조합을 이루는 경우도 있다. 이른 새벽에 바다에서 수평선을 힘차게 뚫고 불끈 솟아오르는 태양을 맞이하는 그기분을 연상해 보시기 바란다. 황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丙은 태양이고, 壬은 어둠이고 호수이며 바다이다. 태양은 어둠을 뚫고 올라올 때의 일출과 황혼에 바다로 떨어지기 직전의 일몰모습이 환상적이라고 할 수 있듯이 陰陽의 조합에서도 그 아름다움은 그야말로 한폭이 그림이다. 이러한 모습, 壬과 丙..

화다수증(火多水烝):火가 많으면 水가 증발해 버린다.

戊 壬 丙 丁 申 午 午 未 ☞많은 불에 의해 水가 증발되고 만다. 火는 財가 되니 아버지요, 마누라요, 돈이다. 1.고로 아버지에 의해서 나는 증발되고 아버지의 콤플렉스에 걸린다. 2.마누라가 무섭다. 처의 곁에 가면 증발된다. 돈의 노예가 된다. 3.時가 寅午戌未면 獨水熬乾(독수오건) 팔자다. 4.또한 火는 낮이고 水는 밤이니, 낮은 길고 밤은 짧다. 밤낮으로 일해도 먹고살기가 힘들다. 5.火는 많고 水는 적으니 물이 증발되고 구름밖에 더 되겠는가? 뜬구름 잡는 팔자이다. 6.그러나 金水運이면 旱天甘雨(한천감우)로 水氣運이 왕해져 旺財를 감당하고 발복한다. ※易學은 자연과학이고 자연과학 자체를 공식으로 증명해서 들어간다. 얼마나 위대한가? 사주를 꼭 六親에만 대비하지 말고 自然에 비유해서 이해하는 것..

형전형결(形全形缺)

▣형전형결(形全形缺)⇨ 형전은 사주 오행의 形이 완전한 것 형결은 사주 오행의 形이 결함된 것 ◉사주 오행의 形이라 함은 甲. 乙의 경우⇨ 木形, 丙. 丁은⇨ 火形, 戊. 己는⇨ 土形, 庚. 辛은⇨ 金形, 壬. 癸는⇨ 水形인데 ▬그 形이 완전(形全)하다는 뜻은 甲. 乙木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丙. 丁火 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그 形이 완전치 못하다(형결)함은 가령 戊. 己土 日生이⇨ 寅. 卯. 辰月에 그리고 庚. 辛金日生이⇨ 巳. 午. 未月에 生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形이 완전 하다는데 속하는 것은 형전이라 하고 形이 완전치 못하는데 속하는 것은 형결이라 한다. ◉그런데 이상의 “전”이나 “결”이 모두 偏이된 격이므로 이것을 모두 중화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인데, 그 강한 자..

임수(壬水)의 여러가지 모습

물의 형태를 여러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그중에 한가지 유형으로 "물은 샘솟는 물이냐? 받아 놓은 물이냐?"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 壬 戊 ○ ☞샘솟는 물이다. ○ 子 申 ○ 1.申에서 壬子를 金生水로 생해주고 있으니 샘이 솟는 물이다. 2.아무리 펴 써도 샘물처럼 마르지 않는다. 돈도 또한 쓴 것만큼 채워진다. 3.고로 돈이란 써야 생긴다고 생각한다. ○ 壬 戊 ○ ☞金生水가 없어서 받아 놓은 물이다. ○ 子 戌 ○ 1.똑 같은 돈이지만 金生水가 없으니 이사람은 저절로 수전노가 되고 자린고비가 된다. 2.왜냐하면 돈은 쓰게 되면 그만큼 줄어드니까 죽어도 돈을 안쓴다. (고로 戊申月 壬子日은 돈 쓰는 재미로 살고, 戊戌月 壬子日은 돈 모으는 재미로 산다. 그래서 돈에 대한 철학을 이야기하자면 戊申..

운명의 방향

나무의 방향은 바람에 의해 결정되고 사람의 방향은 자기가 결정한다. 우리의 운명을 다른 사람의 손에 맡기고 있거나 시대의 흐름에 이리저리 휩쓸린다면, 당신은 이미 인생의 방향을 잃은 것이다, 방향이 없는 인생은 절대로 멋 있는 인생이 될 수 없다. 우리에겐 태어날 환경을 선택할 권리는 없지만, 삶의 환경을 바꿀 권리는 있다. 당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데 다른 사람의 손에 맡겨서는 안된다. 믿음과 끈기를 가지고 있다면, 분명 당신은 운명을 바꾸고 꿈을 실현시킬 수 있다. ※인생의 레몬차에서

탐재괴인(貪財壞印)

▣탐재괴인(貪財壞印)⇨ 財를 탐내어 인수가 파괴된다는 뜻이다. ⦿인수는 생아지신(生我之神)이요 財는 아극지신(我剋之神)인데, 그 財는 인수를 극한다. ▬그런데 인수는 文星. 교육. 종교성이요, 財는 재물이므로 財旺즉 文星이 몰하고, 文星이 旺함은 財가 없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돈 많은 부자는 글이 풍부하지 못하고 글이 많은 학자는 돈이 풍부하지 못한 원리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고로 학자나 문인이 재물을 탐하면 명예가 손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수 용신(신약사주)으로 이루어진 官公吏는 財운이 오면 재물(수뢰)죄를 범하기 쉬운 것이다. ⦿가령 甲日의 인수는 水요 財는 土인데, 그 土財는 水印綬를 극하기 때문에 인수가 용신으로 선정되었을 때 柱中에 財가 있으면 그것을 "탐재괴인"이라 하여 병으로 취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