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자약살財滋弱殺⇨ 身旺官弱에 관살을 용신하는데 관살이 미약하여
財의 원조를 받아 관살로서의 임무를 감당케 하는 것을 말한다.
⦿재자약살이라 하여 무조건 관살 弱인 경우 財로써 生하여 주는 것이 아니고
일주 强에 관살이 관살로서의 기능이 불충분하였을 경우
財의 힘을 빌어 官을 사용하는 경우를 재자약살이라 한다.
⦿신약한 사주에 殺强인 경우 재자살격이라하여 무조건 財로 용신한다면
그것은 재자약살이 아니라 재생험살財生險殺하여 도리어 사경死境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女命에 신약한 사주가
財生官殺하면 財는 시모媤母요, 官殺은 부군夫君이 되는 것이니
시모가 부군을 교사하여 나를 공박하도록 만들게 되는 것이며,
◉신왕한 사주에 弱殺인 경우 財가 있으면 재자약살 또는 명관과마라하여
남편의 영화로 크게 귀부인이 되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첫째 신강살천(身强殺淺)이냐 아니면 신약살강(身弱殺强)이냐를 잘 가려서
전자의 경우는 신강이니 재자약살이라 하고,
후자는 신약이니 제살(식신제살) 보신하거나 방조보신(살인상정. 살인상생)해야
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재자약(살財滋弱殺)이 신왕위귀(身旺爲貴)인데 신약이면 성화(成禍)하니
명판강약(明辨强弱)하라⇨ 재자약살이면 신왕한 것을 귀하게 여기는데
신약이면 재앙을 이루니 밝게 강약을 구별하라.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거기병(除去其病) (0) | 2020.07.14 |
---|---|
정신포만(精神飽滿) (0) | 2020.07.13 |
재인불애(財印不碍) (0) | 2020.07.10 |
왕희순세(旺喜順勢) (0) | 2020.07.09 |
재명유기(財命有氣)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