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희순세(旺喜順勢)⇨ 旺한 자는 운에서 순세를 만남을 기뻐한다
◉이곳에서 말하는 왕 함이란 인수 또는 비견. 겁을 만나 일주가
왕 하여졌다는 부분적 왕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가령 水 일주가 全水局을 만나 윤하격을 이루었다던가
또는 종강격으로써 전체 인수국을 이루었다던가
▬또는 종아격으로써 아성(兒星)이 왕하였다던가 하는
전체적 종적(從的)으로 편중된 왕을 말하는 것이다.
◉모자멸자(母慈滅子)법에서 母는 인수가 되는데,
▬다인수(多印綬)는 중인수(衆印綬) 서인수(庶印綬)로써 서모가 되는 형상으로
그 인수를 순리 즉 순세되는 비견. 겁으로 설기시키면 대길해 지는 것이나,
▬만약 그 旺 한 인수를 역리 즉 역세 되는 재성으로 극인(剋印)하면
중모다모(衆母多母)의 심정을 거슬려 대화(大禍)가 있다
◉이와 같이 왕 한 사주는 항상 그 왕 한 자의 식신. 상관이 되는
순세(順勢)운을 호(好)하고 그 旺 한 자의 관살 되는 역세 운을 대기하는 것이다
.
◉여기에서 旺이라 함은 부분적으로 “官旺이다 印綬旺이다”라는 식의
왕이 아니고 종적(從的) 전체적으로 편중된 旺을 논하는 것이다
※왕희순세하니 재록이 풍만하고 왕기역세하니 복록이 자퇴라
(旺喜順勢 財祿豊滿 旺忌逆勢 福祿自退)⇨ 왕 한 것은 순세를 기뻐하니 재록이 풍만하고 旺한 것은 역세를 꺼려하니 복록이 스스로 물러 난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자약살(財滋弱殺) (0) | 2020.07.11 |
---|---|
재인불애(財印不碍) (0) | 2020.07.10 |
재명유기(財命有氣) (0) | 2020.07.08 |
재기통문(財氣通門) (0) | 2020.07.06 |
재관쌍미(財官雙美) (0) | 202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