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살병용官殺竝用⇨ 官과 殺을 모두 병용하여 쓴다는 것
◉계선편에서는 "세월 시중에 대파는 관살이 혼잡이라(세월시대歲月時大
관살혼잡殺官混雜)"하여 관살이 혼잡되어 있으면 대단히 싫어하므로
거살유관去殺留官 또는 거관유살去官留殺을 환영하는데,
이곳에서는 그와는 달리 도리어 관살이 혼잡 되어 있음을 병용하여
대길 하다고 반론을 들고 있다.
◉이 論은 궁통보감 八月 庚金論 주에서 말하고 있는데
그 학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八月 庚金은 월원月垣이 고금固金으로써 庚金의 양인이 병령하고 있다.
金氣가 최고로 강예剛銳하여 있고 때는 심추深秋로써 바야흐로 한기가 점진하고 있다.
▬고로 모름지기 丙. 丁을 병용하게 되는데, 그 丁火로써는 庚金을 하야(冶)하고
다시 丙火는 태양지기 이므로 한기寒氣를 해제하게 되는 것이니
이로써 관살 丁.丙을 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법은 경험에서 얻은 것으로써 오직 본서에만 이것을 발명하여
쓰고 있으므로 별종명서別種命書에는 없는 바이다."라고 기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병용하는 곳에 형. 충이 없을 것 같으면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직개충신直介忠臣이 되어 필위극품지귀必爲極品之貴라고 하였다.
※신왕지격에는 殺官을 병용하여 유품대귀를 수하신지(身旺之格
殺官用 有品大貴 雖何信之)꼬⇨ 신왕한 격에는 殺官을 병용하여 품계가 대귀함이 있음을 누가 어찌 믿을꼬.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통수화(溝通水火) (0) | 2020.05.10 |
---|---|
급신이지(及身而止) (0) | 2020.05.07 |
거탁유청(去濁留淸) (0) | 2020.05.03 |
거류서배(去留舒配) (0) | 2020.05.02 |
가살위권(假殺爲權) (0) | 2020.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