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사주통변시 참고사항 104

빙산(氷山)사주

子丑月에 태어나고 木, 土가 없어야 한다. 폭설 폭설 빙산 태양 [乾命] 壬 癸 庚 丙 子 亥 子 午 북극바다 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辛 [2대운] 申 未 午 巳 辰 卯 寅 丑 ★북극 빙산에 눈이 많이 쌓였는데, 저 멀리 등대(子時에 丙火는 丁火로 등대다)가 빛을 발하고 있다.→인물이 좋다. ★겨울철에 庚金은 별(星)로 본다. 밤에 丙火는 달(月)이다.→月星之合이라 하여 인물이 좋다. ★북극의 어두운 밤에 등대라 어디를 가나 인기 있다. ★조후가 해결되는 火대운(여름)에 발복한다고 하면 큰 오산이다.←본 명식은 빙산 사주이기 때문이다. ★빙산은 녹으면 큰 재앙이 일어난다. 故로 火大運이 大凶이다. ★乙大運 초까지 잘 나갔다. -乙이 吉神이면 乙大運에 확장 발전한다. -乙이 吉神이라 9개 지점을 내고, ..

일장당관(一將當關)

자강 이석영 선생은 "四柱捷徑"에서 一將當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파하고 있다 ■問:일장당관이란 무엇인가? ■答:어떠한 健者가 하나(一將) 關中(柱中) 나타나서 떼를 지어 나를 괴롭히고 해치려는 者를 제압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이때 한장수이어야 하므로 반드시 하나만 있어야 하고 또 健壯한 者 즉 根이 있어야 하는 것이며, 또 當關이란 關中에 나타났다는 뜻으로 出現 즉 다시 말하여 四柱천간에 出現 透出되어야 하는 것이다. 일장이 당권하였으면 그 일장은 나(己身)를 괴롭히는 者(殺)를 진압하기 때문에 나에게는 恩星이 되는 것이다. 古書에 말하기를 "일장당관하니 群邪自伏(군사자복)"이라고 하였다 군사란 예를 들어 비겁이 떼를 지어 쟁재한다던지 또는 殺이 많아 일주를 극신하는 경우, 기타의 방법으로 己身을 ..

고란살(孤鸞殺)사주의 또 다른 통변 사례

고란살이나 과숙살이 사주에 있으면 본 남편과 해로하지 못하고 외롭게 산다고 하나,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사주의 전체적인 짜임에 따라 달라지니 사주해단시에 조심해야 하리라 본다. 다음의 사주풀이는 자강 이석영 선생님의 저서인 "사주첩경(四柱捷徑) "에서 인용한 것으로 고란살 사주인 여성으로써 귀부인이 된 경우다. (坤命) (時) (日) (月) (年) 癸 甲 丁 庚 酉 寅 亥 申 이 사주는 甲寅日 고란살에 출생하였다. 그런데 일지 寅木에 甲의 官인 金이 絶(12신살의 絶)한다 하여 이살이 구성되는데, 이런 사주의 경우 寅亥로 準木局하고 또 癸水 투출 生木하여 신왕하고 金은 寅에 절한다 하나 申酉로 金이 국을 이루고 있고 庚金이 투출하고 년지 申金에 着根하여 金官星분야를 이루어 신왕관왕으로 모 民議員(지금..

서출인생(庶出人生)

■인수(印綏)와 편재(偏財)가암합( 暗合)을 할때 →부친과 모친이 몰래한 사랑 서출인생이라 하는데 어머니와 아버지의 관계가 떳떳치 못한 관계가 많다. 과거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다, 서출인생은 1)나의 부친과 모친이 몰래한 사랑으로 떳떳치 못한 사랑이다. 2)남에게 드러내지 못하는 사랑, 당당하지 못한 사랑, 숨겨진 자식, 숨겨진 마누라라고 보면 된다. 壬 甲 丙 戊 ★부친과 모친이 몰래 사랑한 명조이다. 申 辰 辰 午 1)편재 戊土가 부친이고 인수 癸水가 모친이다. 2)戊土는 辰中 癸水와 숨어서 戊癸暗合을 한다. -월지, 일지의 辰중에 지장간 乙, 癸, 戊가 있으며 이중 癸水가 印綏로 어머니다, 3)지장간의 암합이다. 어머니가 숨겨진 상황이다. 그래서 몰래한 사랑이다. 4)사고(四庫:辰戌丑未) →사..

아내가 바람 피우는 사주

壬 戊 辛 乙 [乾] 子 午 巳 巳 이 남성의 경우에 시지 子가 正財로 아내이다. 정재가 하나라서 자기만을 좋아한다고 믿고 또 믿었는데 알고 보니까 -년지 巳중에 戊토와 子중 癸수가 戊癸暗合을 하여 다른 남자와 놀아나고 있다. -또 월지 巳중에 戊토와 子중 癸수가 戊癸暗合을 하여 또 다른 남자와 놀아나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다.

송사, 구설이 생기는 운

명조내에 있는 食神보다도 傷官, 혹은 偏官이 刑이나, 冲이 될 때 송사, 구설이 있게 된다고 한다. 傷官이 형, 충을 받을 때 유산도 된다.다르게 송사, 구설이 생길 수 있다. 傷官은 구설, 偏官은 저돌적인데 형, 충이 될 때 생긴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반드시 형,충을 받는 오행의 장부에 질병이 생긴다. 오행의 장부는 뭘까? 木은 담, 간 火는 소장, 심장 土는 위, 비장 金은 대장, 폐장 水는 방광, 신장으로 본다. 그리고 예를 들어 庚子 일주가 있는데 子(癸)가 상관인데 午運을 만날 경우 子午冲이 된다. 이때 송사, 구설이 생긴다. 그렇지 않으면 子의 장부가 뭘까? 신장 혹은 방광이다. 신장은 癸水, 방광은 壬水 둘은 표리의 관계이다. 또한 만일 대장이 좋지 않으면 폐장도 나빠지고 간이 좋지 않으면..

처녀가 잉태하는 사주

사주 명조에 숨어 있는 복선을 읽어 내는 것도 묘미가 있다. 어떤 성향을 갖고 태어났는지 보는 것도 좋은 공부라고 본다. ★자식 있는 남자가 배우자가 되는 경우 日柱(나)+官(남자)+食(자식)=삼위일체로 合(같이 있게)이 되는 경우이다. -日干과 同柱 -日柱와 合하는 2가지 경우이다. 1.일간과 동주인 경우 合 정관 ○ 乙 ← 庚 ○ (坤) ○ 巳 ○ ○ 丙(상관) 庚 ★乙木 일간에 乙巳 일주이다. 乙庚合한다. 1)을사일주로 동주에 巳中丙火 傷官이 일지에 있어서 일간과 같이 있다. 2)을목 일간, 丙火 상관이 을사 동주에 같이 있다. 3)월간 庚금은 正官으로 남자(남편)이다. -일간 을목과 乙庚 干合을 한다. -庚金이 을목과 합하므로 을목 일간에게로 들어오게 된다. ※合은 만나다로 함께 있는 것(곳), ..

토다수체(土多水滯)

水일주가 官殺(土)이 많으면 土多水滯다. 庚 壬 己 戊 ★土가 많아서 물이 흐르지 못한다. 戌 子 未 戌 받아 놓은 물이다. ★ 1.庚은 燥土에는 土生金을 잘 못 받으니 金生水도 잘 못한다. 고로 썩은 물이다. 2.이런 사주는 창살 없는 감옥이다. 도장집, 복권판매소 등과 같이 조그만 박스 안에서 하루종일 꼼짝 못하는 신세다. 주방장도 창살 없는 감옥이다. 3.水에 비해서 土가 많으니 모기 보고 총 쏘는 팔자다. 4.첫정은 戊戌에게 주고 己亥에게 시집간다. 가까운데 있으니까.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大貴를 이룬 명나라 武帝의 사주

술월(戌月) 정화(丁火0에 갑목(甲木)과 경금(庚金)이 투출하지 않아서 좋지 않은 사주로 보이지만 팔자의 기이함으로 대귀를 이룬 명나라 무제의 사주 팔자이다. 그 기이함을 살펴보기로 한다. [남자사주] 戊 丁 戊 辛 辛 壬 癸 甲 乙 丙 丁 (대운) 申 酉 戌 亥 卯 辰 巳 午 未 申 酉 1.丁酉일주는 천을귀인, 문창귀인, 복성귀인, 학당귀인 등 좋은 귀인들을 갖고 있다. 2.월령 戌土 중 지장간 辛丁戊가 모두 천간에 투출하여 소위 천간은 지지를 덮어주고, 지지는 천간을 실어주는 천부지재(天覆地載)의 상태를 이루고 있다. 3.천문(天門)과 지축(地軸)은 명주에게 귀함을 가져오는 요소다. 戌亥는 천문이요, 未申은 지축으로, 이 팔자의 경우는 지지에 천문과 지축을 모두 다 가지고 있다. 4.지지연여(地支連茹..

추수통원(秋水通源)에 日貴格 사주

[남자사주] 癸 癸 戊 壬 ※秋水通源에 日貴格으로 寅巳申 三刑殺을 全備하니, 寅 申 巳 丑 특수공직에 大成할 사주이다. 1.月上 正官이 솟구치니 반드시 고위직에 오른다. 2.巳丑으로 財官化爲文하니 必有發福이라. 巳財가 丑官과 合化金이 되니 재복이 없을 것 같아도, 戊土정관이 높이 솟구쳐서 制劫하며 戊癸로 合해 官化爲財가 되니(무관이 계수와 합해 火로 변해서 官이 財로 변화한 모습이다) 저절로 녹봉이 올라 부유한 삶을 누리게 된다. 3.巳丑이 酉를 유인하여 三合成局하니 己酉生 妻를 얻고 자기분야 최고직인 청장에 오른다. 앞으로 寅大運 甲. 亥년은 조심해야 한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