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사주통변시 참고사항 104

부모의 해로(偕老) 여부 추론

본인의 사주를 보고 그의 부모님의 사주를 보지 않드래도 그 부모님께서 해로할 것인지 또는 도중에 헤어지는 아픔이 있을 것인지를 유추해 볼 수도 있다. 사주가 印星이 과다할 경우에는 모친이 많은 형국이라 부친이 난봉일 소지가 많고 재혼하는 경우도 유추할 수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계모, 유모, 양어머니등을 모실 소지가 다분하다. 다음으로 모친성(인성)과 부친성(재성)이 暗合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이경우는 어머니가 남몰래 다른 아버지를 만나는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데 이것은 어머니가 재혼을 하던가 첩실로 사는 경우로 짐작해 볼 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남자사주} 庚 丁 庚 乙 子 巳 辰 酉 (壬 癸) (戊庚丙) (乙癸戊) (庚申) 위사주는 丁火일주가 3월인 辰月에 태어나서 甲木을 만나지 못하였으니 ..

12운성에 의한 사주통변 사례

편인 본인 비견 상관 庫 浴 浴 旺 (대운) 丙 丁 戊 己 庚 己 辛 辛 壬 午 未 申 酉 戌 丑 亥 亥 子 1.육신을 보면 壬水 상관은 旺, 본인 辛金은 浴에, 己土 편인은 庫에 있다. 2.신금 일간이 浴에 있다는 것은 -어머니 뱃속에서 응애하고 태어나서 씻겨주고, 다독거리고, 가꾸고 꾸며주는 모습, 아름다움을 추구해 가며 고쳐 가고, 천방지축 날뛰겠지만 꾸며주고 가꾸어준다. -이사주의 주인공은 목욕의 성향이 된다는 것이다. 꾸미는 것을 좋아하고 예쁘게 다독거리는 것을 좋아하고 화장하는 것을 좋아하면서 본인이 예쁘게 치장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이 주인공은 목욕위에 있기 때문에 약간의 꾸미고 치장하고 갖추고 포장하길 좋아하는 것, 과장되게 이야기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3.壬水가 旺에 있으며 ..

거살유관(去殺留官)과 거관유살(去官留殺)사주 통변

▣거살유관 사주의 통변 예 辛 丙 壬 丁 卯 子 寅 酉 ☞丙日에 壬과 子는 관살혼잡(官殺混雜)이다 그런데 거살유관(去殺留官)이다. 1.丁壬合去요 子水 정관은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비록 태양을 가리는 구름일망정 있을 곳에 있다. 2.그러나 평생 고생하는 팔자다. 丙火 태양이 수극화로 쫓기고 구름에 가려 있다. 3.참으로 다행인 것은 寅木이 냉기를머금어 生火를 하는 것이 기특하다. 4.子卯刑殺 기술로 丁酉 스타들을 위해 寅木 한복기술로 살아가는 朴 某씨다. ▣거관유살 사주의 통변 예 丙 庚 壬 丁 戊 寅 子 亥☞금수냉한(金水冷寒) 이다. 거관유살(去官留殺)이다. 1.년상의 丁火官이 丁壬合으로 가 버렸다. 2.丙 偏官이 寅戌火局으로 똑똑하고 좋으니까 두번째 만난 남자가 그렇게 좋단다. 3.이처럼 여자가 거..

신왕관왕(身旺官旺), 양팔통(陽八通) 사주의 통변

甲 丙 壬 壬 午 寅 子 申 ☞이사주는 양팔통(陽八通)으로 스케일도 크고 영웅호걸이고 丙壬冲이라 싸움도 잘한다 신왕관왕(身旺官旺)이다. 1.설중매화(雪中梅花)다. 임신년 임자월로 계절환경이 추운데, 丙寅日, 甲午時가 되어서 따뜻하게 환경변화가 일어나니 살아가기가 아주 좋은 사주이다. 2.사주의 짜임새가 金水와 木火 두묶음으로 나누어지니까 두 집 살림을 한다고 본다. 3.이런 식으로 똑 같은 官殺이 두개 있으면 직업적으로 重任한다. 즉 한 몸에 두 지게를 지는 것이다. →고로 국회의원도 하고 장관도 하고 →교수하다가 정치도 하며 두 직업을 왕래하게 된다. 4.殺印相生格으로 金水가 더 많으니까 木火가 用神이다. 日支 印綏니까 梟神(효신)이다. 木이 水와 火 사이에서 중간다리 역할을 하니 이것이 살인상생이다...

상관상진(傷官傷盡)과 파료상관( 破了傷官)의 사주

丁 甲 癸 癸 卯 子 亥 亥 ※甲木이 차가워서 丁火가 필요한데 癸印綏가 冲剋으로 너무 심하게 꺼 버린다. 1.이것이 상관상진(傷官傷盡)이고 파료상관(破了傷官)이다. 2.상관을 制壓하라고 했더니 너무 지나치게 傷해 버린 것이다. ★大運이 재차 水印綏運이 들어오면 상진되어 파료상관으로 損壽元(손수원)이고, 傷食運이 들어오면 病中有救로 大發福이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관식투전(官食鬪戰)사주의 통변

壬 乙 辛 癸 午 酉 酉 丑 ※이런 사주는 관살과 식상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午火 食神하나로 金을 제압하지 못하니 金多火食(금다화식)이 되어 있다. 1.관식투전으로 乙木은 이유 없이 남편에게 얻어 터진다. 자식인 火가 너무 어려서 방어해 주지 못하고 오히려 강한 金을 건드리면 더욱 쥐어 터지니 이런 경우가 잠자는 호랑이를 건드리지 말라고 하는 것이다. 2.관식투전 사주로 이런 사주가 구성되면, 그 성격이 복수를 위해서 세상을 사는 사람이다. 金剋木으로 나보다 잘났고 잘사는 사람에게는 이유 없이 火剋金으로 복수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이다. 고로 하루도 편할 날이 없고 官災, 訟事, 口舌이 따르는 전과자로 골육상쟁하는 사주다. 3.뿌리 없는 나무라서 자신은 일가친척이 없다고 생각하고 산다. 乙木의 눈에는 ..

제살태과(制殺太過)사주 의 통변

乙 乙 丙 丁 酉 丑 午 未 ☞제살태과격 사주다. 女命은 극설교집이다. 盡法無民(진법무민)이라고도 한다. 1.을목이 신약하고 官殺이 있으면 傷食이 내편이 된다. 2.그러나 전체 짜임의 구성요건은, 食居先 殺居後에 해당하니 傷食이 더 많은가, 官殺이 더 많은가를 따져서 적은 쪽으로 용신을 잡는다. 3.이 명조는 火剋金을 너무 많이 하니 制殺太過이다. 고로 官*法*秩序를 살려야 하니 酉丑이 用神이다. 4.여자라면 丁未, 丙午로 子得別夫하고 자식을 혼자서 훌륭하게 키워 놓고, 나중에 다른 남자를 만나 재혼하여 잘사는 팔자이다.(관이 용신이니까) 이정도 되면 자식들이 어머니 고생하셨으니 행복하게 사시라고 재혼시켜 드려야 한다.(官殺傷食 剋泄로만 짜인 여명은 性愛絶倫하며 玉露女로 衆人之妻다) 5.酉丑으로 官이 局..

수다금침(水多金沈)사주 통변사례

戊 辛 壬 壬 戌 亥 子 子 ☞水多金沈이다. 食傷이 많다. 제 꾀에 제가 빠진다. 戊戌이 살려주고 있다. 1.火運이 제일 좋다(겨울로 추우니까) 2.수입은 적고 지출은 많으니까 못산다. 3.傷官이 많으니까 세상 사는데 불평불만이 많다. 4.子月의 辛이니 金水雙淸이다. 깨끗하다. 여기서 금수쌍청과 깨끗한 것을 연결하면 "쥐뿔도 없는게 주는 대로나 먹지 깨끗한 척은 혼자서 다하고 이것 주라 저것 주라 한다" 5.傷官이 많으니까 데모앞잡이다. 또한 상관이 많은 팔자가 태어나면 그 집안이 망한다. 6.辛日柱가 능력도 없는데, 金生水 받으려고 水들이 많이 모였다. 7.金生水해 주다가 그 모성애 때문에 辛은 뼈만 남았다. 8.冬至달이 둘이고 10월이 하나니 강추위에 떨고 있다. 9.물이 너무 차가우니 자율신경이 말..

종강격(從强格)사주의 통변 사례

[여자사주] 戊 戊 丁 戊 辛 壬 癸 甲 乙 丙 (1대운) 午 午 巳 午 亥 子 丑 寅 卯 辰 1.무토일간에 火, 土가 만국을 이룸으로써 종강격이 되었다. 2.甲寅대운에 결혼하고 시집이 부자였으므로 다복하게 지냈다. 한편 을묘, 갑인대운에 왕한 土氣(用神)를 木이 극하므로 크게 흉하겠지만, 木이 月干의 丁火(인성)와 관인상생하여 무난하였고, 甲寅대운에는 寅木이 午火와 합을 하면서 용신인 무토를 도우니 최고로 길하였다. 3.癸丑대운에 火氣가 상처를 입게 되니 남편이 돌아가셨고, 壬子대운에는 본인도 歸天하였다. 4.종강격은 사주에 총관되는 육신이 없어 한편으로 치우치게 되기 때문에 흉운이 오면 피할 길이 없으며 성격도 또한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농후하다. 그러기 때문에 종강격은 길흉이 드나듦이 크고 속성..

음팔통사주(陰八通四柱)이면서 최약사주의 통변

己 乙 辛 癸 ※음팔통사주이다. 또 신약사주니 "음지네요" 卯 丑 酉 丑 ●年上의 癸가 印綏인데도 왜 내편이 아니고 金水로 같이 구획을 정리하는가? →乙木이 먼저 乙辛冲받으니까 나중에 水生木 못한다(乙木이 辛에게 먼저 쥐어 터지고 나자 癸水 엄마가 와서 "사랑하는 내 새끼 乙木아 어쩌다 이렇게 다쳤노? 하고 아무리 젖꼭지를 물려도 못살아 난다) →구획정리는 항상 木火 陽으로 하고, 金水를 陰으로 갈라야 하므로 癸를 陰으로 몰아서 구획 정리했다. ●卯木에 겨우 명맥만 의지하고 있으니 身弱이다. ●財殺太旺格: "내 것 주고 뺨 맞는다, 죽도록 일해 주고도 월급 한번 제대로 못 받는다." 죽고 싶은 생각뿐이다. 丑 탕화가 둘이니 두번 음독자살을 시도했다. 을신충이니 위에서 나를 때릴 것 같다. 늘 쫓기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