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전체 글 1282

장모동거(丈母同居)

推命歌 28 財星食神 同臨合은 丈母奉養 있게 되고 [乾命] 丙 壬 癸 癸 午 寅 亥 丑 사주에 역마성이 있으니 이역만리 海外에 살아 본다 月建에 비견겹이 많으니 그 형제수가 매우 많도다. 身旺하고 財가 興하니 매우 부유하게 잘 산다. 時干에 편재성이 있으니 부부간에 짝이 각각 갈린다. 재취하고도 아직 부족하여 몸이 꽃밭에 취하여 눕는다. 時間午火가 財祿桃花하여 再娶小室 덕으로 잘 산다. 생일에 편재성을 놓았으니 正妻아닌 여자와 동거한다. 寅中丙火 午中丁火 편정재가 合하여 그妻妾이 和順하도다. 편재가 日主에 튼튼히 자리잡혀 小室이 도리어 주권을 쥐었다. 食神寅과 財午가 合하여 장모님 봉양함이 있다. 비견겁이 干支로 合하여 배다른 형제가 진을 쳤도다. 時間에 양차살이 있어 처남이 매우 고독하도다. 출처: 이..

팔주 래정법(八柱 來情法) 활용 사례

※동기간 갈등 문제 , 부부 갈등 문제 발생※ [래방일] [명조 坤] 년 월 일 시 시 일 월 년 甲 甲 甲 庚 丙 乙 辛 辛 子 戌 辰 午 戌 丑 丑 巳 ■女命이다. 乙丑일주 여자가 甲子년 甲戌월 甲辰일 庚午시에 찾아 왔다. 1.乙丑은 甲子와 子丑合, 甲戌과 丑戌刑 ,甲辰과 丑辰破로 合, 刑, 破를 이루어 甲목 동기간의 갈등 문제로 본다. 2.乙목 입장에서는 甲목이 3개나 떴다. 동기간의 갈등 문제이다. 3.刑, 破가 있으므로 동기간의 갈등 문제라는 것을 알고 있다. 4.이번에는 은신(隱神)을 활용한다. 1)甲목 동기간과 刑, 破를 하여 동기간에 갈등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그런데 甲목이라는 글자는 甲己合으로 이면에는 化한 오행 土가 숨어 있다. 3)土는 재물, 돈이다. 化한 土는 현실적..

국제결혼(國際結婚)

推命歌 285 地殺馬官 놓은 여성 異邦에서 사랑맺고 또는 國際結婚하니 新進이냐 不貞이냐 [坤命] 己 甲 丁 癸 巳 申 巳 亥 陰이 셋에 陽이 하나이니 개구리 매미와 같이 소리만 요란하다. 사주에 역마성이 있으니 해외에 출입 있도다. 巳申驛馬 官庚金이 合하니 국제결혼 함이 있도다 두 巳官庚金이 一冲一刑되어 三生佳約은 해로하기 어렵다. 官殺이 三刑殺을 띠고 있으니 官과 食神이 刑하여 夫子를 剋한다. 驛馬巳와 金殺이 刑合하니 칼날로 말미암아 몸이 상한다. 驛馬巳火가 食神이 되었으니 混血兒를 出生함이 있다 食神과 官이 日主에 합하니 不正胞胎 있어본다. 日主申이 逢巳刑하여 몸에 수술한 흔적이 있다. 傷官星이 刑殺을 만났으니 그胎兒가 忠實치 못하다. 干으로 甲己合 支로 巳申刑하니 곤랑도화살이 구성된다. 그 곤랑도화..

과부 되기 쉬운 사주

坤命] 戊 庚 辛 丙 辰 辰 卯 戌 위사주를 살펴보면 丙이 偏官으로써 남편성에 해당되는데 1.남편성인 丙이 12運星으로 보면 戌인 墓地위에 앉아 있다는 것으로 보아 남편성이 매우 위태로운 모습이 보인다. 2.丙火가 남편성이면서 丙戌이 백호대살이라서 남편이 또한 위태하다. 3.남편성인 丙이 월간의 辛과 丙辛合을 하여 水로 변한다. 이 水가 남편성인 丙火를 剋하여 불(丙火:남편)을 끄게 된다. 그래서 남편이 사라지고 과부가 되는 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위 세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때 과부가 될 개연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교통사고 나기 쉬운 사주

推命歌 48 地殺馬刑 傷官殺旺 交通事故 두렵고요. [乾命] 乙 戊 己 丙 卯 寅 亥 辰 陰이 半이요 陽이 半으로서 음양이 具全된 사주다. 본래는 信義가 있으나 그 主心이 미약하도다. 財가 旺하고 身이 弱하여 부자집에 가난한 사람이다. 財殺이 强旺하니 그 처자가 나를 이긴다. 처의 말을 잘 귀담아 들으라 가정이 和睦하는 根本이다. 土가 虛하고 水木이 旺하여 비위에 병이 있게 된다. 木은 酸으로서 太旺하니 병명은 위산과다로다. 亥寅卯로 官殺이 이어 앉았으니 外房에 子孫을 얻는다. 驛馬에 官殺이 臨하였으니 외국에 나가 자손을 얻는다. 生月에 天門星이 비쳤으니 그 情이 佛道에 通한다. 生日에 陽差殺이 있으니 그 외삼촌이 고독하다. 驛馬가 殺로 旺하였으니 車馬에 橫厄이 두렵다. 출처: 이석영 저 "사주첩경"에서 발췌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 6

도계 박재완 선생님의 저서인 "命理實觀"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을 왜 이러한 인연과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나름대로 考察해 보고 있습니다. [명리실관 예제] (坤命) 壬 乙 庚 戊 癸 甲 乙 丙 丁 戊 己 [5대운] 午 丑 申 申 丑 寅 卯 辰 巳 午 未 土,金이 왕국에 온수가 생목이로다. 재기가 비상하고 능히 여러 무리를 지도하리라. 뱀띠, 말띠생을 낭군으로 택함이 길하며 아니면 여름에 태어난 남자 역시 가하도다. 丙,丁日 생도 좋다. 이하생략 출처: 도계 박재완 저 “명리실관”에서 발췌 ※명리실관에 이 배우자 인연을 왜 뱀띠(巳生), 말띠(午生)가 길하냐 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동방철학원 생각※ ◀이 사주에서 뱀띠와 말띠가 좋은 배필임을 인연법으로 살펴 보면▶ “七殺得勢하..

음독하는 일이 있다(飮毒之事有)

推命歌 282 午日生人 丑或午辰 亦是飮毒 注意하소 [乾命] 壬 戊 丁 己 子 午 丑 巳 生年에 地殺이 놓였으니 離鄕하는 나그네다. 거듭거듭 印綏星이 있어 두 慈堂님에 절한다. 생일생월에 怨嗔殺이 있으니 형제간에 불목하도다. 생일생시에 相冲殺이 있으니 반드시 거듭 혼인한다. 重婚하고도 아직 부족하여 東西 두살림 있도다. 부부궁에 干支 冲剋하여 백년생애가 무정하도다. 탕화살이 逢六害하여 한번 음독하여 봄이 있다. 만약 그런 일이 없으면 총알이나 파편에 부상 있다. 자손궁에 相冲殺이 있어 자녀간에 별거 또는 不合하다. 자녀동거가 불가하고 도리어 별거함이 좋다 四重으로 비견겁이 있으니 이복형제 있도다. 戊午일이 巳午 火局하여 女色을 크게 주의하라 출처: 이석영 저 "사주첩경"에서 발췌

혼인 시기

언제 결혼할까? 혼인수가 열리는 것은 用神運, 月支를 冲할 때. 日支와 合을 할 때라고 흔히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남자 사주는 財星이 와서 일주와 合을 할 때 결혼을 하고, 여자 사주는 官星이 와서 일주와 合을 할 때 결혼을 한다. 또 남명은 여자 財星이 日 또는 時와 合 또는 冲 되어 올 때 혼인수가 열린다. 여명은 남자 官星이 日 또는 時와 合 또는 冲 되어 올 때 혼인수가 열린다. 日은 배우자, 時는 자식, 合은 인연이라 나의 배우자가 일과 시에 인연이 되어 온다. 合은 만남, 인연, 함께 있는 것을 뜻하고 冲은 만남과 이별이 같이 있는 것을 뜻하며 미혼자는 결혼하고, 기혼자는 이별한다. 1.남명은 財星이 사주 日 또는 時에 合이나 冲이 오는 시기에 혼인 된다 2.여명은 官星이 사주 日 또는 時에..

배우자 인연에 관한 고찰 5

도계 박재완 선생님의 저서인 "命理實觀"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을 왜 이러한 인연과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나름대로 考察해 보고 있습니다. [명리실관 예제] (乾命) 癸 癸 丁 壬 甲 癸 壬 辛 庚 己 戊 [5대운] 亥 亥 未 寅 寅 丑 子 亥 戌 酉 申 6월생으로 물이 많으니 비록 삼복에 찬 기운이 일어난다고 하나 金의 뿌리가 없는 水가 克泄을 당하니 金水의 고향에서 능히 길조를 얻으리라. 용띠, 뱀띠 중에서 배필을 택하면 길하고 가을이나 겨울에 태어난 사람이면 더욱 좋다. 한 아들이 비록 작으나 능히 일당백이라 이하생략 출처: 도계 박재완 저 “명리실관”에서 발췌 ※명리실관에 이 배우자 인연을 왜 辰, 巳生이 최길이냐 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동방철학원 생각※ ◀이 사주에서..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4

도계 박재완 선생님의 저서인 "命理實觀"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을 왜 이러한 인연과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나름대로 考察해 보고 있습니다. [명리실관 예제] (乾命) 丁 甲 庚 辛 癸 甲 乙 丙 丁 戊 己 [3대운] 卯 午 寅 丑 未 申 酉 戌 亥 子 丑 왕성한 木이 재목을 이루는 것이 비록 이치에 당연하다 할 것이나 관살혼잡이 일대 결점이다. 크고 작은 일이 빗나가는 것은 학문을 좋아하지 않은 결과이다. 기술방면이 가장 좋은 길이니라. 이 명조가 좋은 길로 가는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니라. 씨앗을 뿌리고 나무를 가꾸는 일을 익혀 두고자 하는 취지는 이렇게 함으로써 마음이​ 진정 되어야만 모든 흉사가 침범치 못하기 때문이다. 범, 토끼띠 중에 배필로 맞이하는 것이 절묘한 이치니라. 이하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