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교태(天地交泰)⇨ 天의 氣와 地의 氣가 서로 크게 合하였다
◉天의 氣와 地의 氣가 서로 合하였다는 뜻으로 天이 全木으로 되어 있다면
지지에도 全木局으로 되어있어야 한다는 뜻이니,
천간에 甲. 乙木 全으로 되고, 지지에는 亥. 卯. 未나 寅. 卯. 辰이 전구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이격은
▬천간이 모두가 丙. 丁火일 경우는⇨ 지지에 巳. 午. 未나 寅. 午. 戌이
▬천간이 戊.己土 全으로 있을 경우는⇨ 지지에 辰. 戌. 丑. 未가
▬천간이 庚. 辛金 全으로 있을 경우는⇨ 지지에 巳. 酉. 丑이나 申. 酉. 戌이
▬천간이 壬. 癸水 全일 경우는⇨ 지지에 亥. 子. 丑 申. 子. 辰이
全으로 있어야 하는 것이다.
◉종왕격(곡직․ 염상․ 가색․ 종혁․ 윤하격)과 천지교태의 다른 부분
▬둘은 꼭 같은 것 같지만 다른 점은
가령 甲. 乙日이 지지에 亥 .卯. 辰만 있으면 곡직격은 되는 것이지만,
천지교태는 천간도 모두 甲. 乙木 全이 있어야 되는 것이며,
▬또 丙. 丁日生이 寅. 午. 戌이나 巳. 午. 未 만 있으면 염상격은 되는 것 이지만,
천지교태는 그 외의 천간이 丙. 丁火라야 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천지교태는 한 局으로 크게 몰려있는 것으로써 크게 되려면 크게 되고,
고생하려면 크게 고생하게 되어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는 사주인데,
얼핏 보아 「천지교태」라고 하여 좋다고만 단정을 내렸다가는
오류을 범하게 되기 쉬운 격인 것이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수양목(蓄水養木) (0) | 2020.07.27 |
---|---|
아능생모(兒能生母) (0) | 2020.07.24 |
진기왕래(眞氣往來) (0) | 2020.07.22 |
추수통원(秋水通源) (0) | 2020.07.20 |
천한지동(天寒地凍) (0) | 2020.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