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불항(戰而不降)⇨ 칠살과의 전투에 임하여 죽으면 죽었지
절대로 항복하지 않는다
◉이 전이불항이란 칠살과의 싸움에서 양인으로 合殺하여 정전시켰다가
전세가 불리하였을 때 쓰는 말인데, 본래 싸움이란 승패를 가리는 것이므로 싸우면 승리를 거둬야 할 것은 두말한 나위도 없는 것이다.
◉그런데 전세가 불리했을 경우 죽음이냐 항복이냐 두 가지를 놓고
택일해야 할 때에, 강하고 용감한 자는 죽음을 택하는 것이나
약하고 비겁한 자는 항복을 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곳에서 말하는 것은 항복을 택하지 아니하고 죽음을 택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인데,
그 죽음을 택하는 자는 강하고 용감한 자라고 하였은 즉,
그 강하고 용감한 자는 무엇을 말하는가 하면,
사주에 신강한 자를 말하는 것이며,
또 신강자란 비견․겁 즉 다시 말하여 양인 또는 비견. 인수 등으로
신주(身主)가 高强함을 말하는 것이다.
◉반드시 양인은 殺과 같이 하여 성패가 크게 정하여지는 것이므로 칠살과 양인
즉 殺刃이 상정(相停)되어야 위지왕후(位至王侯)라 하여 크게 성공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殺은 위무지인(威武之人)으로 權이라 하였고
양인은 天의 자암성(紫暗星)으로써 주직(誅職)을 관장하여 위무지기(威武之器)로써
「刃』이라 하여 이 살인상정을 「권도쌍현權刃雙顯」이라고도 표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양인이란 비겁성이 되므로 身柱가 고강하여 절대 고분 고분 항복을
아니하고 강력히 주장을 시종관철 시키려는 城이 있기 때문에
전이불항이란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전이불항에 입업건공이요 살인균정에 명제안탑이라.(戰而不降에 立業建功이요 殺刃均停에 名題雁塔이라)⇨.전이불항에 업적을 세우고 功을 이룸이요, 칠살과 陽刃이 함께 그침에 이름을 안탑에 적는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지덕합(天地德合) (0) | 2020.07.18 |
---|---|
진법무민(盡法無民) (0) | 2020.07.17 |
제살태과(制殺太過) (0) | 2020.07.15 |
제거기병(除去其病) (0) | 2020.07.14 |
정신포만(精神飽滿)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