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멸자母慈滅子⇨ 그 어머니가 너무 인자하여
도리어 그 아들을 망친다는 뜻인데,
◉이는 사주에 인수가 너무 많으면 도리어 그 사주는 불길하게 된다는 뜻이다.
즉, 木 일간에 인수(水, 어머니)가 많으면 아들이 되는 木은 부목浮木 이 되는 것이며,
또 火 일간에 木이 너무 많으면 그 火는 적은 불이 큰 나무를 만나
불길이 꺼지는 것과 같다(목다즉화식木多卽火息)
이와 같이 인수가 너무 많아서 사주가 도리어 불길해지는 것을
모자멸자라고 한다.
◉그런데 이 모자멸자는
인수태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강격이 되기가 쉬운데,
종강격이 되면 순모지리順母之理(어머니를 따르는 이치)로
비견.겁재 운을 크게 기뻐하게 된다
※순모지리⇨ 왕 한 인수 즉 모친의 生을 나 혼자 받기에는 너무 태과하여 불길하나,
그 사랑을 나의 형제가 되는 비견. 겁재이 서로 나누어 받으면
그 왕한 인성이 나누어져서 吉하게 됨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군뢰신생지리君賴臣生之理(임금이 신하를 의지해서
살게 되는 것)로 득재得財함을 기뻐하는데,
이 格은 인수가 태왕한데
財도 역시 인수를 극할만한 근기가 있어야 되는 것이지
약한 財는 왕한 인수를 극한다고 하다가 도리어 財 자신이 반극 당하게 되므로 파재 등 그 화가 가볍지 않게 되는 것이다.
※군뢰신생지리⇨ 내가 극하는 財를 득하여 그 財의 입장으로서는
내가 官 즉 관제지신이 되므로, 나는 君이 되고 그 財는 臣이 되는 것인데
, 財의 힘을 빌어서 극제. 왕인 하여 나의 위기를 모면하여 살게되므로 인하여 군뢰신생이라고 하게 되는 것이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화통명(木火通明) (0) | 2020.06.03 |
---|---|
명관과마(明官跨馬) (0) | 2020.06.01 |
귀문관살 (0) | 2020.05.16 |
구통수화(溝通水火) (0) | 2020.05.10 |
급신이지(及身而止)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