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문관살鬼門官殺⇨ 子酉, 丑午, 寅未, 卯申, 辰亥, 巳戌
※원진에서 빠진 것은 寅酉와 子未
◉귀문관살이 생기는 때
▬사주에서 水. 火나 金. 木이 상쟁할 때
▬조후가 불량할 때 인성이 약하거나 깨져 있을 때 일간이 극신약 할 때
▬인물이 좋은 여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귀문관살은 원국에서 옆에 붙어 있을 때 근본적인 성향을 내포하고 있는 가운데, 운에서 다시 올 때 그 영향이 나타난다. 한편 원국에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해도 운에서 다시 오면 영향이 나타 난다
◉귀문관살이 생길 때 나타나는 현상
▬한 가지 일에 몰두, 편집증적인 생각(의처증, 의부증),
▬최근에는 예술적인 감각이나 직업 등으로도 해석
▬천재성과 변태기질을 동시 보유(엉뚱한 생각)
▬일지나 시지에 있을 때 작용이 강하다
◉원진과 귀문관살은 殺 중에서 가장 흉한 殺이다
◉사주 추리에 있어 일간이 심히 약하여 從財 또는 從殺을 하려고 하는데
비겁이나 인수가 있어 從을 하는데 방해하고 있을 때에
이것을 가리켜 귀물鬼物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귀물 즉 비견 또는 인수가 있어 從에 방해가 될 때에는
차라리 충거 함이 있으면 귀물이 제거가 되면서 格은 고상하게 된다.
◉옛글에 “인유귀인하고 물유귀물인데 봉지불안이요 제거위복이라
(人有鬼人 物有鬼物 逢之不安 除去爲福)"하여 제거 시킴을 요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의할 점은 용신지병과 일주지병에는 그 病을 제거함을 크게 기뻐한다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왜 일간이 태약할 경우 비견이나 인수가 약이 되지를 않고 도리어 귀물이라고 하느냐가 문제다.
▬예를 들어 柱中에 土가 태왕인데 乙卯日 生이라면 旺土가 일간지병이요 木은 藥神이 된다. 藥神과 귀물을 대비해 볼 때 구분하기 어려울 것 같으나 다음을 참고하면 구분이 된다.
▶첫째, 일간의 강약을 재검토한다.
▶둘째, 약으로 도와주면 자력을 합하여 재기할 능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셋째, 재기할 힘이 있으면 그 돕는 자를 약으로 용신하게 되는 것이며, 돕는 힘이 있어도 도저히 재기불능일 때에는 그 돕는 자를 귀물로 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같은 오행이 약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귀물이 되기도 하는데,
그것은 오직 사주전체의 구성과 일간의 강약에 따라서 좌우되는 현상인 것이다.
※명봉귀물에 제거위복인데 종지건자에 대복을 감과라(命逢鬼物
除去爲福 從之健者 大福 堪誇)⇨ 命이 귀물을 만나면 제거하는 것이
복이 되는데, 종하는 것이 굳셈에 대복을 자랑함을 참아라.
※인유귀인하고 물유귀물인데 봉지불안이요 제거위복이라(人有鬼人
物有鬼物 逢之不安 除去爲福)⇨ 사람에게 귀인이 있고 사물에는
귀물이 있는데, 그것을 만나면 편안하지 못하고 제거하면 복이 된다.
▣귀물제거鬼物除去⇨ 일간이 從을 하려는데 심히 미약한 인수나 비견이 있어
從에 방해가 될 때에,
柱中에서 그 방해되는 자를 충거시킴 으로서 從이 성립되는 것
▣극설교가剋泄交加⇨ 극하는 관살도 있고 설하는 식상도 있다.
신약할 가능성이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신약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상황을 설명할 수가 있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관과마(明官跨馬) (0) | 2020.06.01 |
---|---|
모자멸자(母慈滅子) (0) | 2020.05.28 |
구통수화(溝通水火) (0) | 2020.05.10 |
급신이지(及身而止) (0) | 2020.05.07 |
관살병용(官殺竝用)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