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분류 전체보기 1282

도화살(연살) 작용

■도화살(연살): 꽃, 도화, 인기, 재주, 여성용 상품■ 1.복숭아꽃을 도화라고 한다. 2.예전에 색정 관계라고 했는데, 사실은 그것이 아니다. 1)桃花는 아름다운 꽃이니까 인기와 맵시를 뜻한다. 2)과거에는 여자 사주에 도화를 나쁘게 봤지만, ①요즘 같이 사회 활동을 많이 하고 ②나의 맵시를 요구하는 시대에는 도화가 가장 필요한 존재다. ③인기가 있고 내가 하는 것이 맵시가 있어서 사람들에게 인정받는다 라고 표현해 주어야 한다. 3)도화가 있는 사람들이 ①재주가 좋고, 유튜브나 개인 방송을 하더라도 인기가 많다. ②음식을 하는데 도화살이 있으면 음식을 맵시 있게 예쁘게 만든다. ③뭐를 해도 인기를 얻는다. 대중적 인기를 뜻한다. 4)도화가 비슷한 것이 화개가 있다. ①화개는 꽃이 만발하게 피었다는 뜻..

육친(六親)판단의 기본: 많은 오행이 있을 경우

1.印星이 多하면 食傷을 剋한다. 1)食傷(자식, 투자 등)이 잘 안 된다.. 출산이 어렵다. 2)財星이 와서 印星을 剋하면 印星이 食傷을 剋하는 것이 弱해져 食傷이 좋아진다. 3)財運에 食傷이 풀린다(자식 출산 가능하다). 2.官星이 多하면 比劫을 剋한다. 1)比劫(나, 형제)이 불리하다. 병약하다. 2)食傷이 와서 官星을 剋하면 官星이 比劫을 剋하는 것이 弱해져 比劫이 좋아진다. 3)따라서 食傷運에 官星이 억제된다(질병 치유). 3.財星이 多하면 印星을 剋한다. 1)印星(모친, 공부, 문서)이 불리하다. 병약하다. 2)比劫이 와서 財星을 剋하면 財星이 印星을 剋하는 것이 弱해져 印星이 좋아진다. 3)이 때는 比劫運에 印星이 길하다. 4.食傷이 多하면 官星을 剋한다. 1)官星(남편, 직장, 자식)이 불..

복된 배우자

다음 자료는 도계 박재완 선생님의 저서인 "命理實觀"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입니다. 도계 박재완 선생님께서는 왜 돼지, 쥐띠 중에서 배필로 삼아야 길하다고 안내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명리실관 예제] (乾命) 庚己戊己 辛壬癸甲乙丙丁(10대운) 午卯辰酉 酉戌亥子丑寅卯 土가 旺하여 木을 쓰고 장차 그 세력은 재목을 이루리라. 심성이 확고하여 중도에서 일을 그치지 않는다. 기술방면으로 나아가면 성공할 수 있는 자질이니라. 배필은 돼지, 쥐띠생 중에서 선택하면 모든 복이 모두 그 중에 있으리라. 자손은 반드시 영화로워 문호를 빛내리라. 이하생략 출처: 도계 박재완 저 “명리실관”에서 발췌 ※명리실관에 배필로 왜 亥生, 子生이 최길이냐 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동방철학원 생각※ ◀이..

모친과 남자

■추명가: 正印正財 合緣되고 偏財星이 破剋되면 어머니가 自由戀愛 내아버지 누구인가 (정인정재 합연되고 편재성이 파극되면 어머니가 자유연애 내아버지 누구인가) ■해설; 정인(어머니)과 정재(어머지의 애인)가 地支로 연결되어 합연을 이루고 편재(아버지)성이 약하면, 어머니가 바람날 수 있어 누구를 아버지라 불러야 하나 ■正印은 어머니이고, 正財는 어머니의 애인이다. 1.地支로 연결되어 합연을 이루거나 同柱하게 되면 2.어머니의 연애를 추축할 수 있다. 3.이런 경우 낳아 준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인(남자)사이에서 누구를 아버지라 불러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 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甲癸戊(乾) ○午未戌 ▶월간에 癸水는 모친이고 1.坐支하고 있는(월지를 말함) 未 중 己土는 정재로 모친의 애인이다. 서로 동주하..

관귀학관(官貴學館)과 공직계통

관귀학관(官貴學館)은 일간을 기준하여 사지(四支)에 대조하는데 일간의 관성(官星)의 長生지가 지지에 있을 때 이를 관귀학관이라고 합니다. 이 때 12운성은 양포태로 본 것입니다. 예를 들면 甲, 乙 일간의 경우에 관성이 庚, 辛金이 되는데 양포태로 庚, 辛金의 12운성으로 長生지는 巳火가 됩니다. 그러므로 甲, 乙 일간인 경우에 사주에 巳火가 있으면 관귀학관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 보면 丙, 丁 일간의 관귀학관은 申, 戊, 己 일간의 관귀학관은 亥, 庚, 辛 일간은 寅, 壬, 癸 일간은 寅(水土동궁으로는 申) 등이 관귀학관에 해당됩니다. 이 관귀학관이 사주에 있으면 관직에 인연이 있고 공직으로 나아가 출세를 하게 되며 주변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아 승진 및 출세를 한다는 길신입니다. 승진 운을 볼 때..

학당귀인(學堂貴人)과 교육계

학당귀인(學堂貴人)은 일간을 기준하여 12운성의 長生지가 지지에 있을 때 이를 학당귀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甲 일간의 경우에 甲의 12운성으로 長生지는 亥水가 됩니다. 그러므로 甲 일간인 경우에 사주에 亥水가 있으면 學堂貴人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 보면 乙 일간의 學堂귀인은 午, 丙 일간의 학당귀인은 寅, 丁 일간은 酉, 戊 일간은 寅. 己 일간은 酉, 庚 일간은 巳. 辛 일간은 子, 壬일 간은 申, 癸 일간은 卯 등이 학당귀인에 해당됩니다. 이 학당귀인이 사주 중에 있으면 지혜가 총명하고 학문이 뛰어나 교육자나 학자의 길로 나아감이 합당하다는 길신입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런 사례들을 접하면서 神殺에 대해서도 가볍게 여길 사항은 아니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천주귀인(天廚貴人)과 재벌

천주귀인(天廚貴人)은 일간의 식신의 12운성의 록이 지지에 있을 때 이를 천주귀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甲 일간의 경우에 甲의 食神은 丙火가 됩니다. 이 丙火의 12운성의 祿은 巳火가 됩니다. 그러므로 甲 일간인 경우에 사주에 巳火가 있으면 天廚貴人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 보면 乙 일간의 천주귀인은 午, 丙 일간의 천주귀인은 巳, 정일간은 午, 戊 일간은 申. 己 일간은 酉, 庚 일간은 亥. 辛일 간은 子, 壬일 간은 寅, 癸 일간은 卯 등이 천주귀인에 해당됩니다. 이 천주귀인이 사주 중에 있으면 식록이 풍성하고 건강이 뛰어나 부귀와 장수를 누리고, 일생동안 의식이 풍족하고 뜻을 세워 재물을 구하면 억만장자 갑부가 된다는 귀인입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런 사..

상론사주학: 癸水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癸水] ■癸+甲 -癸는 木을 키우고 싶어 하지만 그것은 단지 자기 생각일 뿐이다. -내리는 비는 甲을 키울 수 없다. -비가 내리면 나무는 성장을 멈춘다. -비가 와서 병충해가 더 많아져 오히려 힘들어진다. -내린 비가 땅에 고이면 이 물(壬水)로 나무는 자랄 수 있다. -땅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이 壬이다. 癸+戊=壬 ■癸+乙 -나는 새는 비가 오면 날지 못하고, 꽃은 비를 맞아 처량해진다. -癸가 乙을 키..

상론사주학: 壬水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壬水] ■壬+甲 -壬이 甲을 떠다니게 하고 甲은 壬을 먹고 자란다. -壬이 甲을 길러 준다. 水生木이다. 木이 자란다. ■壬+乙 -壬이 乙을 만나도 마찬가지다. -키워 주면서 띄워 주는 역할도 한다. -두 글자를 읽으면 임을 →인물, 인물이 좋다. -핸섬하거나 똑똑하다. ■壬+丙 -壬이 나무를 길러 주는데, 태양이 뜨면 더욱 좋다. -망망대해에 태양이 있다. 새로운 일 시작, 출발이다. -壬은 태양에 의해 ..

상론사주학: 辛金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辛金] ■辛+甲 -신(辛)갑(甲)하다. 즉 심각하다. -킬로 木을 도려내고 있어 木은 피곤해지고 신경이 날카로워져 심각하게 된다. ■辛+乙 -날아가는 새를 화살로 잡아 버린다. 사냥한다. -재물을 잡는다. ■辛+丙 -丙이 辛을 만나면 본분을 망각하고 돌아다닌다. -이것도 역시 여자이면 남자에 빠져서, 사랑에 빠져서, 하여간 뭔가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구설, 시비를 동반한다. ■辛+丁 -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