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丑因子土:중개, 조절, 가두다(庫)의 역할 土가 식상(食傷)이면 중개 업무 더 잘할 수 있다.1.횡경막2.丑은 매이다, 엮다는 뜻인데 이것은 동물 소에 비유한 것이다.3.丑을 생각하면 십이지지 동물 중에 소에 해당된다.소를 상상해 보면 먹이를 먹을 때 반복해서 되새김질을 한다. 1)丑은 되새김이다. 2)되새기면서 씹으니 원망, 원한이 있을 수 있다. 4.紐(맺을 유):이 글에는 매다. 묶다의 의미가 있으니 1)어딘가에 매여서 일을 할 수가 있다. 2)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