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 732

무술일주(戊戌日柱): 무술일에 태어난 사람의 운세

큰산, 넓은 들판, 딱딱한 흙을 상징하며 만물을 무성하게 하는 무토(戊土)와 알곡을 타작하기 직전의 곡식더미가 쌓인 시기이며 개를 상징하는 술토(戌土)의 만남으로 자존심이 남달리 강하며, 재물을 모으려 하고 물건수집을 좋아한다. 물상적으로 보면 큰산위에 큰산이 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으며, 자존심에 관한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성격의 일주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만큼 고집도 세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고독할 소지도 매우 크다. 그러면서 신의와 명예를 중시하고 겉치레가 없이 검소하다. 대개 이 일주는 남달리 영감이 넘치고 영리해서 크게 명성을 떨치고 성공할 소지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신이 갖고 있는 결점만 고친다면 초년 보다는 중년 이후에 복을 누릴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결혼과 관련해서는 대체..

수오행(水五行)의 상생상극 관련 사자성어

1.수뢰금생(水賴金生) 금다수탁(金多水濁) ☞水는 金의 도움을 좋아하고 도움을 받아서 살아가지만 金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물은 흐려지게 된다. 2.수능생목(水能生木) 목다수축(木多水縮) ☞水는 木을 살게하고 도움을 주지만 木이 너무 많으면 水는 오히려 줄어들고 말라 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3.수능극화(水能剋火) 화다수증(火多水蒸) ☞水는 火를 통제하고 剋하지만 火가 너무 많거나 강하면 오히려 水가 모두 증발해서 말라 버릴 수 있다. ※수다화식(水多火熄):水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불을 꺼버리게 된다. 4.수약봉토(水弱逢土) 필위어색(必爲淤塞) ☞水가 적고 약한데 土를 만나게 되면 물이 土에 스며들어, 土가 水를 빨아들여 물이 사라지게 된다. 5.수왕득목(水旺得木) 방설기세(方洩其勢) ☞水가 너무 왕하게 ..

금오행(金五行)의 상생상극 관련 사자성어

1.금뢰토생(金賴土生) 토다금매(土多金埋) ☞金은 土의 도움과 뒷받침으로 生하는 것을 좋아 하지만 土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金이 묻혀버리는 현상이 일어난다. 2.금능생수(金能生水) 수다금침(水多金沈) ☞金은 능히 水를 생하고 水에게 도움을 주지만 水가 너무 많게 되면 金이 물에 잠겨 가라앉게 된다. 3.금능극목(金能剋木) 목다금결(木多金缺) ☞金은 木을 극하고 자르거나 통제하지만 木이 강하거나 너무많으면 오히려 金이 부러지거나 부서지게 된다. ※금다목절(金多木折): 金이 강하고 왕하면 木을 잘라 넘어 뜨리게 된다. 4.금쇠우화(金衰遇火) 필견소용(必見銷鎔) ☞나약한 金이 强한 火를 만나게 되면 必히 녹아 내리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5.금왕득수(金旺得水) 방좌기봉(方挫其鋒) ☞金이 强하거나 많은 경우에..

토오행(土五行)의 상생상극 관련 사자성어

1.토뢰화생(土賴火生) 화다토초(火多土焦) ☞土는 火에 의지하며 火의 도움을 받아 生하지만 火氣가 너무 많거나 강하면 土가 말라 비틀어진다. 2.토능생금(土能生金) 금다토약(金多土弱) ☞土는 능히 金이 생산되도록 生하는 역할을 하지만 金이 과다하면 土는 힘을 잃어 약해지게 된다. 3.토능극수(土能剋水) 수다토류(水多土流) ☞土는 水를 극하고 통제하지만 水가 과다하면 水가 土를 붕괴시켜 흙이 모두 떠내려 가는 형국을 맞게 된다. ※토다수색(土多水塞): 土가 많고 강하면 水를 고갈시키고 물길도 막히게 된다. 4.토약봉목(土弱逢木) 필조경함(必遭傾陷) ☞나약한 土가 木을 만나게 되면 틀림없이 土가 기울어지고 허물어지는 상황을 맞게 된다. 5.토왕득목(土旺得木) 방능소통(方能疎通) ☞土가 왕하면 木을 필요로 하..

화오행(火五行) 의 상생상극 관련 사자성어

1.화뢰목생(火賴木生) 목다화식(木多火熄) ☞火는 木에 의지하고 도움을 받아서 살지만 木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火는 꺼져버릴 수가 있다. 2.화능생토(火能生土) 토다하회(土多火晦) ☞火가 土를 생해주고 불이 있어야 땅이 비옥해지는데 土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火의 기운을 그물게 한다. 3.화능극금(火能剋金) 금다화식(金多火熄) ☞火가 金을 다스리고 녹이지만 金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金이 火를 꺼버리는 형국이 발생하게 된다. ※화다금용(火多金鎔)☞火가 지나치게 많으면 金이 녹아 없어지는 형국이 생기게 된다. 4.화약봉수(火弱逢水) 필위식멸(必爲熄滅) ☞나약한 火가 水를 만나게 되면 반드시 꺼져서 없어지는 형국이 되고 만다. 5.강화득토(强火得土) 방렴기염(方斂其焰) ☞火가 강왕하면 土가 필요한데 土가 강한 ..

목오행(木五行)의 상생상극 관련 사자성어

1.목뢰수생(木賴水生) 수다목부(水多木浮) ☞木은 水의 도움을 받고 의지하지만 水가 과하거나 넘치면 木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물에 뜨는 형국이 되어 살기가 어려워진다. 2.목능생화(木能生火) 화다목분(火多木焚) ☞木은 불을 도와 火를 생하지만 火가 너무 강하고 쎄면 오히려 木은 불에 타서 없어지게 된다. 3.목능극토(木能剋土) 토다목절(土多木折) ☞木은 土를 다스리고 剋하지만 土가 많고 강하면 木이 오히려 부러지게 된다. ※목다토색(木多土塞):木이 강왕하면 土를 소토시키기 보다 土의 기세를 누르고 막아 버린다. 4.목약봉금(木弱逢金) 필위작절(必爲斫折) ☞나약한 木이 金을 만나면 그렇지 않아도 나약한 나무는 베이고 꺾이게 된다. 5.강목득화(强木得火) 방설기영(方洩其英) ☞왕강한 木을 火로 설기해주면 ..

부모의 해로(偕老) 여부 추론

본인의 사주를 보고 그의 부모님의 사주를 보지 않드래도 그 부모님께서 해로할 것인지 또는 도중에 헤어지는 아픔이 있을 것인지를 유추해 볼 수도 있다. 사주가 印星이 과다할 경우에는 모친이 많은 형국이라 부친이 난봉일 소지가 많고 재혼하는 경우도 유추할 수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계모, 유모, 양어머니등을 모실 소지가 다분하다. 다음으로 모친성(인성)과 부친성(재성)이 暗合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이경우는 어머니가 남몰래 다른 아버지를 만나는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데 이것은 어머니가 재혼을 하던가 첩실로 사는 경우로 짐작해 볼 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남자사주} 庚 丁 庚 乙 子 巳 辰 酉 (壬 癸) (戊庚丙) (乙癸戊) (庚申) 위사주는 丁火일주가 3월인 辰月에 태어나서 甲木을 만나지 못하였으니 ..

격국(格局)에 의한 職業 추리

사주의 격국을 기본으로 직업을 다음과 같이 추리해 볼 수도 있다. 1.정인격(正印格)과 어울리는 직업 -박식하므로 학문과 학식을 필요로 하는 문과계통, 학자, 교육계통이 어울린다. -자선심이 농후하므로 자선사업, 육영사업에도 깊은 인연이 있다. -조상과 근본, 뿌리를 중요시 하는 성질로 조상이 업을 이어받는 것도 좋다. 2.편인격(偏印格)과 어울리는 직업 -의약사, 예술인, 작가등 전문직종에 어울린다. -연예인, 정치인, 역술가, 종교인, 체육인등 자유로운 직종에도 많이 분포한다. -사주가 탁하면 기술직이며, 대체적으로 자유로운 직업에도 많다. 3.식신격(食神格)에 어울리는 직업 -식신생재격은 사업가에 많고 의식주나 제조업에 많은 분포를 보인다. -수화가 왕성하면 요식업도 좋은 편이다. -재성이 없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