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造]
乙乙甲庚
酉卯申申
※정편관(正偏官)이 혼잡되어 있다. 신강(身强)사주 같으나 신약(身弱)사주다
1.금극목(金剋木)으로 총 맞은 나무처럼 상처투성이다. 병들어 있다.
2.가난한 집에서 출생했다. 출생하면서 집안이 기울었다.
3.나를 극(剋)하는게 관살(官殺)이라 천덕꾸러기이다.
동네북이고 왕따를 당한다. 찾는 사람이 없다.
평생 금목상전(金木相戰)이요 좌충우돌이다.
4.사고무친(四顧無親)이다. 일가친척과 인연이 없다.
5.항상 얻어 맞으니까 위축된 생활로 기(氣)가 없다.
자신감이 없다. 고로 병질로 고생한다.
몸 다치고 불구가 염려된다. 아니면 평생 골골이다.
6.충분한 사랑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하고 성장했다.
이렇게 되면 정(情)에 굶주린 사람인데 아주 단순한 것이 특징이다.
누가 정을 주면 쉽게 넘어간다.
7.비요즉빈(非夭則貧)이다. 일찍 죽지 않으면 가난하다.
밑바닥을 기고 천격으로 고생하고 사니까 일찍 죽는 자기 목숨을 부지하게 되는데
만약 욕심을 부려서 돈을 왕창 벌면 재생살(財生殺)이 되니 그만 죽는다.
이처럼 죽을 운에 살려면 재산을 줄여라.
자식한테 모두 주고서 자기는 무일푼으로 돌아가라. 그럼 산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 4권에서 발췌
'사주명리 > 사주통변시 참고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변 연습: 오행 육친의 문리 (2) | 2024.10.25 |
---|---|
도화(桃花)와 귀문관살(鬼門關殺)의 통변 사례 (2) | 2024.10.19 |
재물문제로 시비가 있다. (2) | 2023.11.25 |
친구와 문서를 잡다 (2) | 2023.10.29 |
일진도법(日辰圖法): 내방객의 현 상황을 분석하는 기법 (0) | 2023.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