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사주명리/사주실전풀이 80

염상격 사주의 상담 사례

시 일 월 년 [여성] 丙 丁 庚 甲 午 巳 午 午 辛 壬 癸 甲 乙 丙 丁 戊 己 [대운]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팔자에 불이 많다. 甲木 연간인 나무는 불기운에 바짝 말라 있고, 월에 庚金인 쇠는 용광로에 던져진 쪼그만 쇳조각이라. 이리 따지면 팔자 전체가 모두 불바다이다. “에구, 팔자 한번 더럽네. 남편인 물방울이 발도 대지 못하고 튕겨 나가겠어 결혼하기도 힘들고, 결혼했으면 남편이 요절할 팔자야.” 이렇게 말을 하면서 눈을 게슴츠레 뜨던 할아버지를 만난 후, 벌렁거리는 마음이 진정이 안된다며 찾아온 분이다. 1년 동안 마음을 졸이며 살았다고 한다. 사업을 하는 남편이 조금만 늦게 들어와도 혹 사고가 난 것이 아닌지. 사업이 부진하면 본인의 기운이 남편을 휘둘러서 맥을 못 추는 것은 아닌..

잘못된 팔자최면 약이 없다

시 일 월 년 [여성] 乙 乙 壬 丁 酉 巳 子 巳 己 戊 丁 丙 乙 甲 癸 [대운] 未 午 巳 辰 卯 寅 丑 [문]: 결혼에도 별 뜻이 없고, 자식에게 의지하고 싶은 마음도 없고, 아직까지는 재물에도 별로 끌리는 마음이 없고, 현재 가진 것도 없으니 그냥 홀가분하게 은둔하여 도나 닦아 볼까 하는 생각이 가끔 들다가도 그래도 세상 속에서 하고 싶은 게 있고 감히 꿈꾸어 보는 것이 있습니다. 제가 도를 닦고 싶은 마음이 든다는 것은 깨달음에 대한 갈구 보다는 이왕지사 그러그러한 것이라면 힘들게 움켜잡고 있는 것을 쿨하게 다 놓아 버리고 편안해지고자 하는 마음일 겁니다. 얼마간 제사주를 놓고 요리조리 뚫어지게 살펴보고, 학인들의 도움을 좀 받아 보고 하여도 점점 더 미궁입니다. 재물을 뜻하는 자가 없으니 식..

무슨 재미로 사나

나는 내멋에 살꺼야, 이런 차림을 한 중년 부인이 입술을 빨갛게 칠하고 오후 7시를 조금 넘겨 방문했다. 모 증권사의 지점장에게 소개를 받았다는 말과 함께 자리에 앉자마자 질문을 하기 시작한다. 시 일 월 년 (여성) 己 丁 壬 乙 酉 未 午 未 己 戊 丁 丙 乙 甲 癸 (대운) 丑 子 亥 戌 酉 辛 未 문: 문제가 많은 팔자지요? 답: 그렇지. 문제가 많다. 여자 사주에 합이 실타래처럼 엉켜 있고, 질서를 깨는 상관이라는 성분이 강한 탓이다. 합이 많으면 여자에겐 발 묶임이 되고 눈돌림이 되는 법, 와중에 이곳 저곳에 박혀 있는 未土와 己土상관은 질서와 규범을 누르고 깨는 기운이 되어 지 멋대로 살아가도록 몰아간다. 요란한 옷차림과 짙은 화장을 설명해 주는 팔자다. 문: 남편복은 있는가요? 답: 남편이..

스님 사주: 도자기 굽는 사주

바위산 촛불 첩첩산중 [乾] 戊 丁 戊 戊 申 卯 午 戌 乙 甲 癸 壬 辛 庚 己 [6대운] 丑 子 亥 戌 酉 申 未 내몸을 불가마에 던져서 치열하게 道닦는 命이다 →格이 좋으면 스님이나 도인인데, 格이 안 좋으면 택시기사나 포주도 많다. ★현황: 戌대운까지 대기업에서 잘 나갔다. 癸亥대운에 사업에 뛰어들어 폭망했다. 甲子대운에 스님이 되어 사주상담을 하는데 사주도 잘 보고, 손님이 많아 돈을 잘 벌고 있다고 함. 命理공부는 많이 안 했지만 사람만 보면 그냥 알 수 있다고 함. 재혼했다. ★午月에 丁火는 산불이다. 숯가마의 2,000도의 숫불이다. 첩첩산중에 산불이 난 형국이다. 모든 것을 태워 버린다. 첩첩산중에서 내몸을 불태워 치열하게 도를 닦는 형상이다. ★午, 未月에 태어나 申, 子, 辰 한 글자..

애인(愛人)이 생길 운

상담하러 온 여자는 엄지발가락에 빨간 매니큐어를 칠했다. 까만 바지를 입어 발이 유난히 하얗게 보였다. 맨발로 들어서더니 가방에서 양말을 꺼내 신는다. 맨발이면 어떠냐? 그냥 들어오라는 말에 하얀 이를 드러내며 활짝 웃었다. 입술색은 튀는 빨간색, 염색을 한 듯 머리는 까맣다. 오십대 초반, 아니면 중반? 생각을 정리할 틈도 주지 않고 앞자리에 앉았다. 생년월일을 불러 주는데 예순이 훌쩍 넘었다. 사모님이고 부르니 자기 이름으로 불러 달라며 까르르 웃는다 [坤命] 시 일 월 년 丁 乙 甲 戊 丁 戊 己 庚 辛 壬 癸 [6대운] 亥 亥 寅 子 未 申 酉 戌 亥 子 丑 "신수나 볼까 해서요." 寅월 乙木이 물을 깔고 있으니 신강한 월겁격이다. 치료약은 식재관(食財官)을 떠날 수 없다. 약으로 쓸 수 있는 것..

귀문관살(鬼門關殺) 활용 통변

귀문관살이 좋게 작용하면 눈치와 직감이 발달하고 상상력이 매우 뛰어나며 머리가 비상하여 천재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반대로 나쁘게 작용하면 과대망상, 의심, 중독, 스트레스. 조현증, 신경과민과 같은 정신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남자사주] 丁 甲 癸 庚 辛 庚 己 戊 丁 丙 乙 甲 [7대운] 卯 申 未 午 卯 寅 丑 子 亥 戌 酉 申 ★이 사주는 여름철 甲木이 火가 강해서 水가 필요한데 癸水가 약하지만 金生水를 받아서 쓸만하다. 卯申 귀문관살이 있는데 卯는 甲木의 뿌리가 되어주고, 申은 금생수하는 喜神역할을하고 있어 귀문관살이 좋은 작용을 한다. 이 사주의 주인공은 아이큐가 150이 넘을 정도로 총명하여 어려서부터 주목을 받았고 학업성적이 뛰어나서 과학고에 들어갔다. ★甲木은 申 바위위에 걸터앉은 모습인..

물상통변사례(物象通辯事例): 병원 원장님

호수 바위산 큰달 바위 ( 乾 ) 壬 戊 丁 庚 戌 申 亥 子 67 57 47 37 27 17 7 甲 癸 壬 辛 庚 乙 戊 (대운) 午 巳 辰 卯 寅 丑 子 ★현황:0 0 0 지역에서 큰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님이다. ★運始: 子~ 正財라 妻가 話頭, 애정사. 비밀사. ★겨울에 庚金은 별, 밤에 丁火는 달도 되고 별도 된다. 밤에 壬水에 丁火 있으면 은하수다. →인물이 잘 생겼다. ★댐 사주다. 바쁘게 산다. ★時地 戌土가 核이다. 고로 戌土 댐을 파괴하는 辰運이 대흉이다. 그러나 본명식은 申子辰으로 合을 하니 冲의 凶意가 적다. 戌중 丁火 투출하여 난로 역할로 조후를 도와주니 丁火도 좋다.→모친의 덕이 있고, 윗 사람의 덕이 있다. ★일지 申중에서 年干 庚金 투출하여 庚子가 妻다. 傷官, 桃花를 깔..

물상통변(物象通辯)사례

(비,계곡) (거목) (태양) (큰산) 癸 甲 丙 戊 (坤命) 酉 午 辰 辰 62 52 42 32 22 12 2 (대운) 己 庚 辛 壬 癸 甲 乙 酉 戌 亥 子 丑 寅 卯 ★유명 걸그룹 멤버다★ 1.運始: 乙→말을 잘 한다. 2박3일 단거리 여행을 좋아한다. 卯→부지런하다. 예민하여 살이 안찐다. 時支와 卯酉冲이라 자식인연이 약하다. 2.저수지가 있는 큰산에 거목이 있고 그옆에 마르지 않는 계곡이 있는데다 태양이 떠 있으니 경치가 좋다. 그러므로 美人이다. 3.天干에 丙戊癸가 있으면 남자는 문장력이 좋고, 여자는 미인인데 고독은 면치 못한다. 4.천간은 木火通明이라 총명하고 문화, 예술, 교육이 적성이다. 초년이 비겁대운이라 공부는 안한다. 5.甲木을 키우는 命이다. 辰(沃土)에 뿌리내리고 丙태양이 있어..

신왕관왕(身旺官旺)사주의 통변 사례

(시) (일) (월) (년) 丙 庚 辛 癸 戊 寅 酉 巳 ※48세, 丙火官이 用神이다. 身旺官旺 사주이다. 이런 사주가 丙午年이나 丙寅,丙戌年이 되면 어떠한가? 1.庚日 辛月에 巳酉金局의 큰 그릇이 火로써 제련되어야 좋은 그릇을 만드는데 火가 조금 부족하다. 火運이 들어오면 온전한 제련이 되므로 꿈이 현실로 나타나게 된다. 2.또한 金인 보석을 丙인 서치라이트가 잘 비추어 주니까 빛이 나서 좋고, 官이 왕하니 벼슬이 올라가 長官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官이 결실이 되니까 얼마나 좋은가? 3.또한 庚日柱가 辛을 만나면 내것을 뺏기게 되는데, 丙運이 들어와서 丙辛合을 하니까 獨食하게 되어서 庚이 좋게 된다. 4.만약 亥運이면 寅亥合木으로 財는 살아나는데 巳亥冲으로 官이 날아가니까 辭表내고 퇴직금을 받게..

재다신약 사주의 통변사례

庚 丁 甲 庚 戌 卯 申 辰 ■財多身弱이다. 財가 많아서 남의 돈 벌어 주려고 태어났다 -甲庚冲으로 부와 모가 싸우는데 아버지가 이긴다. -甲木 인수가 冲을 당해 공부를 못한다. 卯 습목이 인수라 공부가 부실하다. -卯申 귀문관살로 신경이 예민하다. 원진살로 보면 아무것도 아닌 것을 갖고 남 을 원망한다. -金多火熄이니까 財가 병으로서 時上의 庚이 卯戌合으로 날 가져가라 해도 내것이 아니다, 돈 벌려고 하면 먼저 공부해서 내 능력부터 키워야 한다. -新生兒라면 財가 많아서 소화능력이 부족하다. 젖 많이 주면 설사하니까 항상 시간 맞춰서 젖 먹여야지 안 그러면 위장을 버린다. 출처: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