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전체 글 1282

배우자 인연(配偶者 因緣)에 대한 고찰18

[坤命] 시 일 월 년 辛 壬 丙 乙 丑 子 戌 巳 ※늦가을의 호수로 雜氣 印綬格에 巳(酉)丑을 이뤄 심성은 지혜롭고 원만하며, 가슴은 따뜻하고 두뇌는 냉철한 여인이다. 1.戌土官殺이나 丑土官殺이 華蓋.月殺에 해당이라 종교계의 성직자, 아니면 구도자 남편을 만날 명조로 2.甲辰생 성직자를 만나 자식을 낳고, 官殺이 白虎에 刑殺이라 이별하고, 다시 己亥생을 만나지만 역시 이별이다. 3.그러므로 이런 사주는 자식을 위하여 고독을 견디고 운명에 주어진 천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른 삶이다. 최선의 그길은.......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 ◀이 명조에서 甲辰생과의 인연, 己亥생과의 인연을 인연법으로 살펴 보면▶ 1.甲辰생과의 인연은 “配星入庫하면 破庫定配한다”와 “七..

병진일주(丙辰日柱) 통변시 참고사항: 丙이 辰을 만나면

1.食神이요, 晦氣(회기)다.(습토이므로 가물가물 꺼져간다). 2.辰上丙火는 晦氣無光(회기무광)이다. 3.官庫(관고)이다. 丙辰일주는 관고이다. -여자는 남편이 병들고 남편이 무능력이고 남편이 열중쉬어다. 고로 내가 벌어서 먹고 산다. -남자는 자식이므로 자식에 대한 근심, 걱정이 떠날 사이 없이 끼고 산다. ▶官庫 여자는 서방의 恨으로 남편 농사 안 되고 남자는 자식이 恨으로 마음고생이다. 4.丙은 해요 태양인데 辰시로 연결한다면 -여름과 겨울의 辰시는 하늘과 땅 차이다. -겨울의 辰시는 캄캄하다. ▶동지 달의 해 뜨는 시간은 7시 48분이고 ▶5월 여름의 辰시는 해가 중천에 와 있다. 5.子月의 戌시(冬至 달의 戌시)는 이미 한잠 잘 수 있는 시간이다. 6.5월의 戌시는 아직도 한나절 해가 남아 있다..

가출 학생

[乾命] 시 일 월 년 壬 壬 丁 辛 辛 壬 癸 甲 乙 丙(10대운) 寅 申 酉 丑 卯 辰 巳 午 未 申 학교 낙방하고 비관하여 가출한 학생의 모친이 보러왔다. 16세[丙辰년] 亥월에 낙방하고 가출하여 18세 8월까지 소식이 전혀 없었다. 금왕(金旺)의 가을에 태어나 金水가 旺하므로 시지의 寅木이 수기(秀氣)를 유행(流行)시키는 용신이다. 상담 무렵의 대운이 申이라 용신과 冲하여 학교를 중단하고 가출문제가 발생하였다. [Tip] ※20세 이전에 寅,申,巳,亥의 運에는 가문이나 사주가 좋으면 유학, 가문이나 사주가 나쁘면 가출한다.※ 출처: 학산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

병인일주(丙寅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寅을 만나면

1.偏印, 長生, 木生火다. -丙은 寅을 제일 좋아한다. 2.천지를 밝히고도 남는다. 黎明(여명)에 떠오르는 태양이다. 3.寅時에 난 사람이 時 평생을 제일 잘 타고 태어났다. -寅은 세상에 빛과 광명을 주는 시간이므로 -寅時에 태어난 사람은 좋은 일을 많이 해야 한다. 4.丙寅일주는 숯불이고 梟神殺(효신살)이다. -여자라면 너무 억세고 똑똑해서 남편궁이 나쁘다. (金活蘭 박사: 己亥 丙寅 丙寅 丁酉) 5.寅은 演에서 온 글자라 ▶丙寅일생이 의외로 연예인이 많다. (庚寅 己卯 丙寅 己亥: 이정식님 사주)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결혼관련 상담

몇일 전에 막내아들이 40이 되도록 결혼을 안하고 있어서 결혼과 관련하여 상담한 사례를 간략하게 서술해 봅니다. [乾命] 시 일 월 일 甲 乙 乙 癸 戊 己 庚 辛 壬 癸 甲(8대운) 申 丑 丑 亥 午 未 申 酉 戌 亥 子 ※갑:상담자, 을:래방객 갑:북풍한설에 온기가 하나도 없는 보리밭이 생각납니다. 따뜻하게 보듬어 주고 온기를 불어넣어 줄 태양이 있어야 좋은 사주로 보입니다. 인생 전반전은 형제나 친지로 인하여 재물도 흩어지고 삶이 곤고한 모습으로 보입니다. ※乙日干이 月干의 乙을 만나니 逢比散財다※ 을:지금까지 형의 사업에 그동안 푼푼이 모은 돈을 쓸어 넣어 낭패를 보고 있었습니다. 갑:그러나 인생 후반부는 귀인을 만나 인생이 좋아지는 모습입니다. 현재는 고달프더라도 성실하게 살면 40 중반부터는 ..

병자일주(丙子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子를 만나면

1.正官(정관)이다. 水剋火 받고 絶地다. 沒光(몰광)으로 빛이 죽었다. 2.丙子일주 여자는 소실이거나 재취 혼인이 많다. -子午卯酉는 도화로 바람둥이 서방이 많다. -밤에만 왔다 가는 손님 같은 남편이다. 밤이 서럽다. -丙子는 癸巳가 되기도 하므로 내가 남편에게 평강공주 같은 귀인이 되기도 한다. 3.子는 正官으로 직업이 되고 도화가 되니 바람을 핀다. -水는 밤이요 火는 꽃으로 丙子는 밤에만 피는 꽃으로 야생화다. -丙子는 病者이다. 고로 항시 아프거나 몸이 불편하다. 4.丙子日이 寅木 印綬를 만나면, 그 삶이 학구적이고 올곧으며 진취적이다. 5.丙子日 여성이 -官殺不雜(관살부잡)이면 오직 남편만을 섬기고 받드나 -官殺混雜(관살혼잡)이면 陰地인생이다. 나는 태양이고 官은 어둠이요, 寒水라 과거 비밀..

대학교수(저작가)

■推命歌 103 春夏月에 甲乙日生 舌端生金 敎育家라 [乾命] 시 일 월 년 己 甲 丙 丁 巳 午 午 卯 甲日巳時가 잘 合하고 時間에 巳時를 놓아 아름답다. 또다시 사주전체가 火로 되어 그야말로 순수한 化格이다. 甲己가 合하여 土로 化하는데 크게 忌物은 卯가 된다. 卯木은 그러나 生午火하여 도리어 더욱 좋아진다. 그리고 또 干頭에 丙丁火가 있어 火生土로 그 土를 相生한다. 바야흐로 크게 功名을 얻어 富貴之人이 되리로다. 사주에 驛馬星 놓였으니 해외출입 있도다. 夏午月 甲日에 태어나 손에 교편을 잡아 본다. 格局이 청하고 단정하여 대학교수 박사의 격이다. 傷官과 財가 합하여 장모님 모시게 되도다 子孫代로 늘기 시작하여 증손자 만석에 領相이라. 여름 局中에 물 없다고 나쁘다고 말을 하지마라. 출처: 이석영 저..

을해일주(乙亥日柱) 통변시 참고사항: 乙이 亥를 만나면

1.正印, 水生木, 濕木, 陰地나무다. 2.浮木(부목)이나 着根이다. -乙木이 亥를 만나면 부목이 되나, 떠내려가지는 않는다. 2.亥중의 甲이 있어서 연꽃이나 옥잠화 같이 착근하므로 3.乙亥 梟神殺(효신살) -어머니와 인연이 없거나 어머니가 둘이다. ▶올빼미 梟(효): 올빼미는 어미 잡아먹는다, 거미는 수컷을 잡아먹는다. 4.집안에 올빼미에 해당하는 것을 갖다 놓지 마라. -어머니 몸이 아프다. -부엉이, 뻐꾸기도 해당한다. 부엉이표 子회사면 언젠가는 母회사를 잡아먹는다. 고사에 이기붕의 창경원 올빼미 기증 사건이 있다. 5.日柱에 印綬 놓은 자는 -자의든지, 타의든지 부모님 모시고 살거나 어머니 恨이 많다. -만약 장남이 인수가 없고 차남이 일지에 인수가 있으면 맨날 우리 부모님 하고 장자 역할을 한다..

을유일주(乙酉日柱) 통변시 참고: 乙이 酉를 만나면

1.편관(偏官), 칠살(七殺), 살지(殺地)이다. -포태법으로는 絶이지만 絶로 안 써 먹고 殺地로 써 먹는다. 죽는 곳이다, 바늘방석이다. -절목(折木)이다. 가을나무로 잎새가 떨어진다. 추풍낙엽(秋風落葉)이다. 2.乙酉殺地이다. 小室팔자이다. -서방이 퇴근시간(酉時)에 왔다가 가버린다. -그러나 巳生 인연은 더러 예외가 있다. 3.첩(妾): -立 밑에 女. 발이 달렸다. 언제 도망갈지 모른다. -서서 서방이 언제 왔다 가는지 기다리는게 첩이다. 4.여자 乙日柱에게 庚年이 왔다. 乙庚合이 되는데 애인 생기나? 시집가나? 아니면 남편 만나나? 남편이 승진이냐? 어느 것인가? -사주 원국을 살펴서 구분하라. -정숙한 팔자냐, 아니냐를 보고 종합적으로 추리한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부정(不貞)한 여인

[坤命] 시 일 월 년 己 庚 乙 乙 辛 庚 己 戊 丁 丙(7대운) 卯 寅 酉 酉 卯 寅 丑 子 亥 戌 戊子 대운 중 31세[乙卯년]에 시누이 남편과 통정. 그 후 불륜 계속하다가 들통이 나서 33세[丁巳년]때 남편과 정식 이혼을 하게 되었다. 불륜한 대운이 戊子로 사중(四仲: 子, 午, 卯, 酉) 도화대운이다. 사주에 사중(四仲)도화가 3개 있는데, 대운에 또 도화가 들어왔으니 음란하여 수치를 모른다. 출처: 학산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