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食神이요, 晦氣(회기)다.(습토이므로 가물가물 꺼져간다).
2.辰上丙火는 晦氣無光(회기무광)이다.
3.官庫(관고)이다. 丙辰일주는 관고이다.
-여자는 남편이 병들고 남편이 무능력이고 남편이 열중쉬어다. 고로 내가 벌어서 먹고 산다.
-남자는 자식이므로 자식에 대한 근심, 걱정이 떠날 사이 없이 끼고 산다.
▶官庫 여자는 서방의 恨으로 남편 농사 안 되고 남자는 자식이 恨으로 마음고생이다.
4.丙은 해요 태양인데 辰시로 연결한다면
-여름과 겨울의 辰시는 하늘과 땅 차이다.
-겨울의 辰시는 캄캄하다.
▶동지 달의 해 뜨는 시간은 7시 48분이고
▶5월 여름의 辰시는 해가 중천에 와 있다.
5.子月의 戌시(冬至 달의 戌시)는 이미 한잠 잘 수 있는 시간이다.
6.5월의 戌시는 아직도 한나절 해가 남아 있다.
7.丙辰晦氣(병진회기)로 丙이 가물가물 꺼져 가고 火土食神이므로
▶비만 체구는 분명한데 불이 꺼져 가는데 비만에 연결되므로 참살이 아니고 腐살이다.
8.3월의 丙은 내일 모레가 立夏 절기 여름이 오므로 펄펄 살아 있는 불이다.
9.辰은 戊乙癸가 암장이지만 그 자체만 가지고는 印綏, 正官이라고 써 먹을 수 없다.
▶ 寅辰木局이나 子辰水局하게 되면 써 먹을 수 있다.
10.丙辰일은 日德格으로 原由未詳이나 醫藥 종사자가 많다(이석영 선생 이론)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사주명리 > 생일로 풀어보는 운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신일주(丙申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申을 만나면 (0) | 2023.01.20 |
---|---|
병오일주(丙午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午를 만나면 (0) | 2023.01.19 |
병인일주(丙寅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寅을 만나면 (0) | 2023.01.16 |
병자일주(丙子日柱) 통변시 참고: 丙이 子를 만나면 (0) | 2023.01.14 |
을해일주(乙亥日柱) 통변시 참고사항: 乙이 亥를 만나면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