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기통문(財氣通門)
⦿역학에서 재물 운이 좋은 팔자를 재기통문 팔자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공통점은 아이러니칼 하게도
진정한 부자는 재물을 축적하는 자가 아니고
재물을 잘 쓰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 말은 재물을 벌어들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잘 쓰느냐가 핵심이라는 뜻이며,
재물을 잘 쓰는 사람이야 말로 재물 운이 더욱 좋아 진다는 말이다.
⦿재기통문은 일간은 물론 재성의 강성함과 함께 중화되게 유통 됨을 말한다
▬신왕하고 식상이 있든지 아니면 관살이 있을 때
▬일간 및 인성이 왕성하고 식상이 경미하나 재성이 旺할 때
▬신왕한데 관살이 미약하고 인성이 중하나 재성이 월지에 있거나 왕성할 때
▬비겁이 많아 신왕한데 財. 印이 없고 식상만 있을 때
▬재다신약하나 官. 印이 없고 비겁만 있을 때
▬이상 다섯 가지를 재기통문이라 하며 전형적인 부자 사주이다
⦿재기통문 사주를 다른 표현으로 쓸 경우
▬신왕한데 관성이 없을 경우 반드시 식상이 있어야
▬신왕한데 식상이 없는 경우 관성이 반드시 있어야
▬신왕하고 인수가 旺한데 식상이 가벼우면 재성이 국을 이뤄야
▬신왕한데 인수가 많을 경우 재성이 당령해야
▬신왕한데 식상이 있는 경우
▬재왕신약한데 官. 印이 없고 비겁이 있는 경우 등
⦿이외에도 재성이 길신에 해당(신강사주)하고
사주가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되어 있으면 부자가 된다
▬재성이 왕성하고 관살을 생조할 때
▬관살이 비겁으로부너 재성이 파극되는 것을 막고 있을 때
▬재성이 기신인 인성을 파극할 때(길신의 역할)
▬중첩된 식상을 재성이 유통시킬 때(재성의 역할)
▬재성이 왕성하나 식상이 적을 때
▬사주에 재성이 없어도 암암리에 성국成局 즉 삼합을 이룰 때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희순세(旺喜順勢) (0) | 2020.07.09 |
---|---|
재명유기(財命有氣) (0) | 2020.07.08 |
재관쌍미(財官雙美) (0) | 2020.07.05 |
양금지토(養金之土) (0) | 2020.07.04 |
암합(暗合) (0) | 2020.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