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지토(養金之土)⇨ 金을 생해주는, 자양하는 土를 일컫는다.
즉 다시 말하여 庚. 辛金의 양궁(養宮)이 되는 辰. 丑土를 말하는 것이다.
◉庚金은 포태법으로 辰土에 양궁이 되고, 辛金은 丑土에 양궁이 되므로
庚辰日의 辰土와 辛丑日의 丑土는
각각 양금지토 또는 자양금지토(滋養金之土)라고 칭한다
◉여기에서 戌土와 未土도 土生金으로 양금작용이 동일한 것 같으나,
戌土와 未土는 지장간에 丁火를 품고 있어 金을 극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양금 작용이 불가능 하다.
◉그러나 辰土와 丑土는 습토로 능히 生金을 할 수 있으며,
庚日이 月. 時에 辰土나 辛日이 月. 時에 丑土를 놓아도 동일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庚. 辛金 일간이 柱中에 殺局을 만나도 辰. 丑土가 있으면
습토濕土로 회기시켜 살인상생지리가 되어 좀체로 從을 하지 않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는데,
財多일 경우는 탐재괴인(貪財壞印)으로 자양금지토(慈養金之土)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양금지토는 불외관살하고 토다금매에는 반히견재라(養金之土 不畏官殺 土多金埋 反喜見財)
⇨ 양금지토는 관살을 두려워하지 않고 토다금매에는 오히려 財를 보는 것을 기뻐한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기통문(財氣通門) (0) | 2020.07.06 |
---|---|
재관쌍미(財官雙美) (0) | 2020.07.05 |
암합(暗合) (0) | 2020.07.02 |
신왕적살(身旺敵殺) (0) | 2020.07.01 |
순환상생(循環相生)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