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록축마背祿逐馬⇨ 관귀官貴가 수제受制 또는 절하고,
財馬가 비견. 겁을 만난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祿이라 함은 정관을 말하는 것이므로
배록이란 그 관성이 상관의 극을 만나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또한 『馬』라 함은 財馬인데, 축마는 그 財馬가 비견. 겁의 극을 만나
진행하지 못하고 축출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가령 甲木 일간의 官祿은 辛金(官貴)인데, 그 辛金(관성)이
丙.丁과 巳.午(식상)를 만나거나 또는 寅木을 만나게 되면 배록이 된다
그런데 이렇게 되었을 때 만약 세시歲時에 戊. 己土(財馬, 재성)가 있으면
이 재성이 生官(祿)을 하게 됨으로 대단히 기쁘게 된다.
이런 경우에 만일 운에서 비견. 겁(甲. 乙)이 임하여 오면,
그 甲. 乙木은 財馬(戊. 己土)를 극하여 축마가 되는 것이니 대단히 불길하여
곤궁에 빠져 공황으로 살게 되는 것이다.
⦿고로 甲. 乙木 일간이 辛金 녹귀祿貴를 작용할 때에 寅木을 만나면
갑록재인으로 대단히 좋을 듯 하나 반대로 싫어한다.
그 이유는 甲木의 녹귀 金星이 寅에 절하고
동시에 寅木 중 丙火가 극록으로 배록 되고
또 녹귀를 생하여 주는 戊.己 財馬 土가 寅에 병이 되고,
寅中 甲木은 극마하여 배록축마가 되는 것이다 라고 하였으며
⦿또 甲木이 辛金을 작용할 때에 巳. 丙火를 만났을 경우,
세시에 견무토재見戊土財면 그 財는 生宮 하여 대길하다고
앞에서 말한바 있었는데, 이외에 그 巳. 丙火가 亥에 至하면
그 인수 水는 녹을 극하는 巳. 丙火를 制하여 무우無憂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 祿이 신왕에 다시 官을 만나거나 財를 만나서 生旺하는 것을
향록向祿이라 하고, 이 배록축마가 되면 좋은 財宮이 잘 이루어 졌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알아둘 것은
이 배록축마가 절대적으로 같이 이루어 지는 법은 아니고
어떠한 격에서는 배록, 그리고 어떤 격에서는 축마,
또 어떤 격에서는 배록축마 구비로 이뤄지는 것이다.
▬이격의 구성은 한마디로 말하여 "신왕에 官을 작용 코져 할 때에 官이
상하여 불용하고 그를 生하는 財를 위용爲用하는 경우 또 그 財가 비견. 겁에 상함을 당하는 것을 배록축마라고 한다"는 것만 알아두면 된다.
▬그런데 이 格은 官이 물러서고 또 재물이 물러서게 되는 것이므로
사회적으로 크게 출세하기가 어렵고,
혹은 財의 힘을 얻어 크게 출세했다 하더라도,
그 財는 처와 재물이기 때문에 처로 인하여 또는 재물로 인하여
성공하였다가 축마 되는 비견. 겁 운에는 패망하게 된다.
▬그 원인은 財에 탐이 나서 비견. 겁이 극하므로 妻財로 인하여 재앙이
있게 되는 것이며, 또 극하는 자는 비. 겁으로써 형제 붕우가 되기
때문에 형제나 친구에게 피해를 당하게 되는 것이다.
※배록축마하니 재명이 낙조인데 인처유재에 기화가 비경이라(背祿逐馬
財名落照 因妻由財 奇禍非輕.)⇨ 官貴를 등지고 財馬를 쫓으니 財星이
석양에 지는데 처와 재물로 말미암은 기이한 화가 가볍지 않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상관(變化傷官) (0) | 2020.06.15 |
---|---|
방조설상(幇助泄傷) (0) | 2020.06.13 |
명암부집(明暗夫集) (0) | 2020.06.08 |
목화통명(木火通明) (0) | 2020.06.03 |
명관과마(明官跨馬) (0) | 2020.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