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명조는 진여명리강론 2권에 소개된 명조입니다.
이 경우에 인연맞이와 이 인연들과의 관계에 대해서 제 생각을 피력해 봅니다.
[坤命]
시일월년
己丙壬戊
亥子戌申
※금란호수(金蘭湖水)라 눈부시게 일하는 여장부다.
丁未, 癸丑, 乙巳생 인연이 따르는데 우연이 아니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 2권 p423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
위의 사례에서 이명조가 어떤 인연법으로 丁未생, 癸丑생, 乙巳생과 인연을 맺게 되었으며
이 인연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진행 되었는지에 대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1.인연법에 의한 인연맞이 분석
위의 명조에서 인연법 진여비결로 접근해 보면
1)丁未생과의 인연은 "日主怨嗔이면 不宜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일지 子와 원진이 되는 未생을 유인하여 丁未생을 인연한 것으로 보이며
2)癸丑생과의 인연은 "坐下配星이면 透出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일지 子 중 癸水가 남편성이므로 이를 투출하여 癸丑생을 인연하며 동시에 "配星多逢이면 調和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이 명조에 配星인 壬과 癸등 배성이 많으므로 이 중에 癸水를 대표로 유인하여 癸丑생을 인연하게 된 것으로 보이며
3)乙巳생과의 인연은 "日主無根이면 正祿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일주 丙의 祿인 巳를 유인하며, 또한 "七殺得勢하면 通關定配한다"해당하는 인연으로 壬과 癸 등 칠살이 득세하고 있으므로 일간 丙火와 칠살 水를 통관하는 乙목을 유인하여 乙巳생과의 인연을 유인한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해 봅니다.
2.맺어진 인연들과의 관계
인연법으로 유인되는 丁未생, 癸丑생, 乙巳생들과의 인연을 살펴보면 丁未생과 癸丑생과는 헤어지고 乙巳생과는 매우 좋은 관계로 맺어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丁未생과의 관계
丙子 일주와 丁未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①천간으로 일간 丙火와 인연 천간 丁火가 만남으로써 태양(丙)이 뜨면 달(丁)이 들어가야 되고, 달(丁) 이 뜨면 태양(丙) 이 들어가야 하는 형국으로 丙과 丁은 공존할 수가 없는 관계로 둘 중 하나는 떠나야 하는 인연이고
②지지로는 일지 子와 인연 지지 未가 子未 怨嗔이 되어 불같은 사랑을 나누지만 빗나간 사랑이 되어 오래가지 못하고 헤어진 것으로 유추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2)癸丑생과의 관계
丙子 일주와 癸丑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①천간으로 일간 丙火와 인연 천간 癸水가 만남으로써 흑운차일(黑雲遮日) 현상이 일어나 태양(丙)이 뜨면 비(癸)가 들어가고 비(癸)가 오면 태양(丙)이 들어가는 모양새가 되어 둘 사이에 공존하기가 어려우며 헤어질 소지가 매우 크며
②지지로는 곤명의 월지 戌과 인연 지지 丑이 丑戌刑을 이루어 인연이 오래 가지 못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3)乙巳생과의 관계
丙子 일주와 乙巳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①천간으로는 일간 丙火가 인연 천간 乙木을 만나니 開花文明으로 날아가는 새에게 길을 밝혀주는 좋은 모습으로 작용하며
②지지는 巳가 일간의 正祿으로 든든한 뿌리가 되어 주는 등 좋은 인연으로 작용하여 본인과 상대에게도 매우 길한 인연이 되었을 것으로 추론해 봅니다.
'사주명리 > 인연법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財閥)과 배우자 인연 (14) | 2024.09.01 |
---|---|
배우자 인연 고찰 (0) | 2024.04.14 |
배우자 인연에 관한 공부 (0) | 2024.03.21 |
바람둥이 남편 (0) | 2023.12.25 |
복된 배우자 (0) | 202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