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사례는 학선 류래웅 편저 “사주실록”에 서술된 사주해단 사례입니다.
이 해단사례를 통하여 인연법으로 辛未生과 甲戌生이 부부 인연을 맺게 된 부분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합니다.
다 음
[乾命:夫(농수산부차관)]
시일월년
乙甲辛辛 乙丙丁戊己庚(10대운)
丑午丑未 未申酉戌亥子
[坤命:婦]
시일월년
辛辛丙甲 庚辛壬癸甲乙(2대운)
卯亥寅戌 申酉戌亥子丑
전 농수산부차관 부인 崔○○ 여사
종재격(從財格)으로 좋은 사주인데, 甲일주의 천을귀인이 연, 월, 시지에 있고 연간, 월간 辛金의 천을귀인은 일지 午에 있으니 복이 많은 사주이다.
부인은 戊土 사령으로 인수격이고, 木이 기신(忌神) 병이니 대운 金운이 약이니 귀부인이 된 것이다.
출처: 학선 류래웅 저 “사주실록”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의견]
1.乾命 辛未生이 甲戌生을 아내로 맞이한 것을 인연법으로 살펴보면
“삼형일허(三刑一虛)라도 허일정배(虛一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인 3년 연하의 甲戌生을 배우자로 맞이한 것으로 유추해 봅니다.
사주 내에 三刑이 되는 글자 중 한 글자가 빠져 있을 경우에 그 빠진 글자를 배우자 인연으로 유인해 온다고 봅니다. 이 명조의 경우에 월, 시지의 丑과 년지의 未가 있으므로 丑戌未 三刑중에 戌이 빠져 있으므로 一虛한 戌을 배우자로 불러와서 3년 연하의 甲戌生과 인연이 된 것으로 추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삼형이 이루어지면 해로하기가 어렵다고도 볼 수 있는 반면에 권력도 되고 정의구현 의지도 이루어진다고 하는 점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봅니다..
그 외에도 丙生, 子生과의 인연도 생각해 볼 수가 있습니다.
2.坤命 甲戌生이 辛未生을 남편으로 맞이한 것을 인연법으로 살펴보면
“삼합일허(三合一虛)이면 허일정배(虛一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인 3년 연상의 辛未生을 배우자로 맞이한 것으로 유추해 봅니다.
사주내에 三合이 되는 글자중 한 글자가 빠져 있을 경우에 그 빠진 글자를 배우자 인연으로 강력하게 유인해 오게 됩니다. 이 명조의 경우 일지 亥와 시지에 卯가 있어서 亥卯未 삼합중 一虛한 未를 배우자로 불러와서 3년 연상의 辛未생을 인연한 것으로 추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적으로 이 외에도 午生과의 인연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사주명리 > 인연법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財閥)과 배우자 인연 (14) | 2024.09.01 |
---|---|
배우자 인연에 관한 공부 (0) | 2024.03.21 |
바람둥이 남편 (0) | 2023.12.25 |
복된 배우자 (0) | 2023.10.15 |
길한 배필: 배우자 인연 고찰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