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 신수훈 선생님의 저서인 "진여명리강론"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을
왜 이러한 인연과 만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나름대로 유추해 봅니다..
(坤命)
시일월년
丁乙辛癸
亥亥酉卯
용띠 의사 남편과 외딸을 둔 박사 주부로 권태로운 일상속에서
웬디 역할을 잘하는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2권 p141)
[동방철학원 의견]
1.이 사주에서 용띠가 배우자 인연이 된 것을 인연법으로 살펴보면
“을일등라(乙日藤蘿)이면 계갑정배(繫甲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인 1년 연하의 甲辰生을 배우자로 맞이한 것으로 유추해 봅니다.
화초이며 넝쿨에 해당하는 乙木은 甲木에 의지하여 감고 올라가려고 합니다. 또한 乙을 새로 보게 되면 새는 甲木에 둥지를 틀고 안주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乙日主는 甲木을 배우자로 강력하게 유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관계로 乙日主인 이 여성은 1년 연하의 甲辰生 용띠를 만나 배우자로 맞이한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2.그 외에 생각해 볼 수 인연으로는 “未生”, “巳生”, “寅生” 등도 인연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삼합일허(三合一虛)이면 허일정배(虛一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년지 卯와 일, 시지에 亥가 있음으로 三合하는 亥卯未 중 一虛한 未를 유인하여 ”未生“과의 인연이 있을 수 있으며
2)“주중이자(柱中二字)이면 합충정배(合冲定配)한다”에 해당하는 인연으로 일지와 시지에 亥, 亥 등 二字가 있으므로 이를 冲하는 “巳生”과의 인연, 그리고 이를 合하는 “寅生”과의 인연도 생각해 볼 수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사주명리 > 인연법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財閥)과 배우자 인연 (14) | 2024.09.01 |
---|---|
배우자 인연 고찰 (0) | 2024.04.14 |
바람둥이 남편 (0) | 2023.12.25 |
복된 배우자 (0) | 2023.10.15 |
길한 배필: 배우자 인연 고찰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