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庚金]
■庚+甲
-甲이 庚을 만나 쇠뭉치에 박살난다.
-이것이 庚이 甲을 박살내는 것이다.
-재물을 다스리지만 재물이 박살난다. 偏財를 지킬 수 없다.
※偏財: 유동의 財, 뒤에 갚아야 할 財(빚) ※偏官: 당장 갚아야 할 財(빚)
■庚+乙
-새가 새장에 갇혔다. 庚이 乙을 통제한다.
-온전한 재물을 가진다.
■庚+丙
-丙이 庚을 보는 것과 같다.
-庚은 과실로 보고 해석을 하면 편하다. -조후 개념이 들어간다.
-庚은 쭉정이, 씨앗이다. 과일로 생각해라(석류: 봄, 여름에 알이 맺히기 시작하고, 가을 겨울에는 “껍질이 터진다.)
-즉 봄 여름에 태어난 庚이면 丙이 庚을 키워 주는 것이고 반가운 것이지만
-가을, 겨울에 만났다. 즉 가을, 겨울에 태어난 庚이면 丙이 庚을 터뜨려 버린다. 일을 그르치게 된다.
■庚+丁
-丁에 의해서 庚의 모양이 다듬어져 辛이 된다.
-즉 상품화가 되므로 좋다..
■庚+戊
-큰 산에 있는 바위(광석, 광맥)라 좋다(단, 木이 없어야 한다).
-土와 金의 조합은 모두 좋다(단, 木이 없어야 한다).
■庚+己
-밭에서 큰 바위(광석, 광맥)가 나왔다.
-발복한다. 단, 木이 없어야 한다.
■庚+庚
-경경하다. 큰 쇠 두 개가 부딪힌다.
-갱갱하고 소리가 난다. 경쟁한다. 구설, 시비가 일어난다.
■庚+辛
-庚이 辛을 꺾어 버린다.
-따라서 庚剋辛으로 극한다. 큰 쇠뭉치가 보석을 박살낸다.
-유독 庚辛만 특이한 관계로 중요하다.
■庚+壬
-壬이라는 맑은 물에 庚을 씻어내니 빛이 난다. 좋다.
-陶洗珠玉(도세주옥)이다.
■庚+癸
-癸에 의해 庚이 녹슨다. 나쁘다.
-癸는 庚, 辛 모두에게 녹슬게 하므로 나쁘게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