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丙火]
■戊+甲
-甲+戊와 비슷하다. 戊가 甲을 키워준다.
-깊은 산, 큰 산에 나무 한 그루 심어 놓은 상태이다.(禿山孤木) 영험한 나무이다.
-사주에 甲, 戊가 있으면 머리가 맑다. 총명하다. 총기가 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큰 학자일 수 있고 한의사. 승려 큰 스님이 되기도 한다.
-한칼 쓰시는 스님, 영험하신 분이다.
-무속인이 길을 걷기도 한다.
■戊+乙
-꽃병에 꽃을 꽂아 둔 상태로 꽃을 키운다.
-절대로 木剋土가 아니고 土生木이다.
※木을 길러 주는 것:
1.天干: 己, 戊, 丙, 壬 4개다. 2.地支: 子, 丑, 辰, 亥, (未, 戌)
未는 황토 흙에 가깝다고 한다면 戌은 날리는 모래와 같다.
엄밀히 말하면 子, 丑, 辰, 亥 4가지다. 여기에 癸가 없다, 이것이 중요한 것이다.
3.여기에 癸 이야기를 조금 한다면 戊와 만난다면
/+戊(土)가 되므로 沃土가 되어 교화(敎化)된다.
■戊+丙
-戊가 甲을 길러내야 하는데 丙 태양이 떴다, 甲을 키운다.
-새로운 시작이고 출발이다.
■戊+丁
-戊가 甲을 길러 내야 하는데 丁을 만나 산불이 났다.
-甲을 키우지 못 한다. 산불이 나서 木을 태운다.
■戊+戊
-첩첩산중이다. 산 넘어 산이다.
-한 마디로 막무가내이다. 저돌적이다.
-메마르다. 황량하다.
■戊+己
-산이 있는데 밭이 있다. 또 밭에 산이 있는 그림이다. 즉 墓다
-戊와 己가 같이 있는 사람은 남이 잘못되어 가는 것, 망해 가는 것, 사망하는 것 을 본다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일을 한다.
-장의사, 의료업, 의사, 간호원, 보험업, 수사관 등에 종사한다.
■戊+庚
-큰 산에 바위 하나 있는 것이다.
-결실을 본다. 단, 木을 보면 곤란하다.
■戊+辛
-보석이 파묻혀 있다.
이를 다르게 보면 戊라는 포대기를 가지고 아기를 감싸고 있는 형국으로 자식 辛 을 보호한다.
-辛은 戊의 보호를 받는다.
■戊+壬
-거꾸로 읽으면 임무가 된다.
-戊가 권한을 쥐게 되고 임무를 부여받게 된다.
-산에 물을 막고 있는 댐이라 물이 있으니 산에 木이 자란다.
-壬+戊의 관계도 동일하다.
-임무를 부여한다. 일을 도모하기 시작한다(댐, 섬, 제방, 근심).
■戊+癸
-큰 산이 있는데 비가 온다. 비를 막는 것이다.
-이것은 장애를 제거하는 것이다.
-하늘에서 내린 비가 고인다.
-산속 계곡물, 산속의 옹달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