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己土]
■己+甲
-밭(정원)에 큰 나무가 있는 형태이다. 己가 甲을 딱 묶어 버린다.
-꽉 잡아서 길러 주는 것이다. 甲은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
-甲은 안정된 상태를 이루었다.
-己는 甲으로 인해 힘들어진다.
■己+乙
-己가 乙을 묶지는 못한다. 己, 乙, 巳 모양이 유사하다.
-己, 乙, 巳는 모두 한집안 사촌이다.
-이 글자들이 모여 있으면 ‘교접한다’라고 보기도 한다.
-날아가던 새가 밭에 내려 앉아 모이를 먹는 형상,
길거리나 밭에서 피는 꽃으로 뿌리 내리고 자란다.
■己+丙
-밭에 태양이 떠서 따뜻한 햇빛을 비추고 있다.
-밭에 있는 木을 키운다.
-丙 원조자의 도움으로 성공하는 명식이다.
■己+丁
-밭에 불이 났다. 木을 모두 태운다. 木을 키우지 못한다.
-미치고 환장할 지경이다.
■己+戊
-밭에 산이 있는 형국으로 산소이다. 戊+己와 동일하다.
-戊와 己가 있는 사람은 남이 잘못되어 가는 것, 망해 가는 것, 사망하는 것을 본 다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일을 한다.
-장의사, 의료업, 의사, 간호원, 보험업, 수사관 등에 종사한다.
■己+己
-부드러움에 부드러움이 더해진다.
-戊는 단단한 산이라면 己는 부드러운 밭이다.
-부드러움에 부드러움을 더하니 물러 터져서 난타 당한다는 것이다.
■己+庚
-밭에서 큰 바위(광석, 광맥)가 나왔다.
-金과 土가 어우러지는 것은 모두 좋다. 단, 木이 없어야 한다.
■己+辛
-보석이 밭에 떨어져서 먼지가 묻어 있는 형국이다.
-己가 辛을 돈 벌어 오라고 독촉한다.
-辛은 己를 보면 미친다. 돈 벌어 오라고 해서.
왜냐하면 己는 밭이고 辛金은 보석이라 밭에 떨어진 보석이 흙(먼지)을 열심히 탁 탁 털 것이다. 보석은 빛이 나야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돈 버는 행위 즉 먼지를 아주 열심히 털게 되므로 열심히 일을 한다.
-辛은 壬에게 씻으러 간다.
■己+壬
-밭에 물이 들어왔다.
-물이 구정물이 된다. 己土濁壬(기토탁임)
-壬이 己를 만나도 구정물이 된다.
■己+癸
-癸에 의해서 己가 구멍이 뚫린다.
-비가 오니 밭이 박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