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분류 전체보기 1218

상론사주학: 戊土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丙火] ■戊+甲 -甲+戊와 비슷하다. 戊가 甲을 키워준다. -깊은 산, 큰 산에 나무 한 그루 심어 놓은 상태이다.(禿山孤木) 영험한 나무이다. -사주에 甲, 戊가 있으면 머리가 맑다. 총명하다. 총기가 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큰 학자일 수 있고 한의사. 승려 큰 스님이 되기도 한다. -한칼 쓰시는 스님, 영험하신 분이다. -무속인이 길을 걷기도 한다. ■戊+乙 -꽃병에 꽃을 꽂아 둔 상태로 꽃을 키운..

상론사주학: 丁火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丁火] ■丁+甲 -甲에 의해서 丁이 힘을 얻는다. 도움을 받는 것이다. -처음에는 불이 잘 붙지 않지만, 불이 붙으면 지속성 있게 불을 지펴준다 甲은 장작이 된다. -여기에 庚이 있으면 甲을 쪼개어 주므로 더욱 좋다. ■丁+乙 -乙에 의해서 힘을 얻는다. -지푸라기라 처음에는 불이 확 일어난다. 하지만 지속성이 없다. ■丁+丙 -丙이 丁을 봤을 때와 마찬가지로 둘 중 하나는 가야 한다. -떨어져 나간다. -..

십이운성 활용 신수(세운) 풀이

12運星만을 활용한 신수(歲運) 풀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偏官 本人 傷官 偏印 浴 浴 冠 旺 庚 甲 丁 壬 午 子 未 子 1.乙未年 歲運 풀이 乙未年이 되면 1)庚金 偏官이 冠帶(관대)가 되니 아들이 학업에 자신감을 가지는 기회가 되었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기대감에 미치지 못 하였다. 2)壬水 偏印은 養(양)이 되어 유명사찰의 불교대학에 들어가 불교 공부를 하였다. 2.丙申年 歲運 풀이 丙申年이 되면 1)庚 偏官이 祿(록)이 되어 일간 甲木을 강하게 공격하여 편관으로 인한 피해가 크 므로 肝(간) 기능이 떨어져 입원한 전력이 있다. 반면 아들(편관)도 祿(록)이 되므로 학교에서 투표결과 전교회장이 되었다. 2)壬水 偏印은 生(생)이 되어 그토록 바라던 내 집 마련을 하였다.(부동산 계약) 3.丁酉年 세운..

상론사주학: 丙火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丙火] ■丙+甲 -丙이 甲을 生해 주고 있다. -木生火가 아니고 丙育甲(火生木). -내가 보람을 느끼고 일을 하게 된다. ■丙+乙 -甲과 마찬가지이다. 乙이라는 꽃을 키워준다 -날아가는 새에게 길을 밝혀준다. ■丙+丙 -하늘 中天에 해가 두 개 떠 있다. -화창하게 밝기는 하나 서로 자신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이럴까 저럴까 하며 어찌할 바를 모른다. ■丙+丁 -태양이 뜨면 달이 들어가야 되고, 달이 뜨면 ..

상론사주학: 乙木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乙木] ■乙+甲 -乙은 날아다니는 새, 새가 나무(甲)를 만난 것이다. -나무를 만나서 둥지를 틀고 정착을 한다. -따라서 이사한다. 이동한다. 동지를 튼다. ■乙+乙 -새 두 마리가 날아간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제비 두 마리가 어우러진다. -乙은 巳와 유사성이 있다. -乙乙도 되지만 巳巳 이런 모양도 된다. -‘어우러진다, 사랑한다, 교미한다’는 의미가 있다. ■乙+丙 -丙에 의해 乙이 큰다. -乙은 꽃..

상론 사주학: 甲木

여기에 서술하는 象論은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설진관 명리학 야학신결”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 “혹자는 이 이론이 오행의 이치와 맞지 않는다 할 것이나. 깊이 연구해 보면 실로 감탄을 금치 못할 고급 법수임을 알게 될 것이다.” -야학신결의 상론사주학의 개괄 본문 중에서- [甲木] ■甲+甲 -나무가 두 개 있다. 甲(갑)甲(갑)이다. 갑갑하다. -두개가 서로 경쟁한다. 경쟁체제이다. 조급하다. ■甲+乙 -나무(甲)위에 새(鳥:乙)가 앉아 있는 모습이다. -온갖 잡새가 날아든다. 集(모일 집)字이다. -사람이 모여든다. 주변이 번잡스럽고 많이 모인다. -복잡한 일이 생긴다. ■甲+丙 -丙이라는 태양이 甲을 길러준다(키워준다). -이때는 木生火가 아니고 丙育甲이다. ■甲+丁 -丙은..

남편만 바라보는 사주

다음의 사례는 청암 박재현 편저 “참역학은 이렇게 쉬운 것이다”에 수록된 사주해단 사례입니다. 이 사례를 제 나름대로 인연법에 의해서 이 두분이 부부로 인연을 어떻게 맺게 되었을까에 대해서 공부하는 차원에서 저의 생각을 서술해 봅니다. [남편만 바라보는 사주] ■남편 ■아내 시일월년 시일월년 乙甲丁己 甲甲辛戊 亥辰卯亥 戌午酉戌 먼저 아내의 사주를 보면 일간 갑목(甲木) 바로 옆에 월상(月上)의 辛金이 자리잡고 있다. 이런 사람은 남편만 바라보며 산다. 남편은 바람기가 좀 있는 사주이나 아내가 남편만 바라보는 사주이면 대개 남편이 외도하지 않는다. 남편의 사주를 보면 일간 갑목(甲木)이 월상(月上) 丁火를 생하고, 월상 丁火은 년상 己土를 생하니 아내를 챙기는 사람이다. 그런데 丙戌년에 상관(傷官)이 힘을..

육친론(六親論): 육친을 찾을 수 없을 때는 어떻게 하나요?

누구의 사주건 궁위(宮位)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해가 쉽지만, 육친성(六親星)은 일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세심하게 살펴야 하는 면이 있습니다. 그런데 간명 과정에서 해당 육친성이 없다면 어떻게 파악할지 모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테면 편재는 아버지를 나타내는 육친성인데, 편재가 없다면 아버지가 없거나 결손 되었다고 보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저도 이런 문제를 선생님께 여쭈어 본 적이 있습니다. “선생님 庚금 일주라면 甲목 편재가 아버지가 되는데, 만약 원국에 재성이 없으면 아버지가 없는건가요? “명리는 한 가지만 고집하면 안돼. 木은 간(肝)을 의미하는데 사주에 목이 없으면 肝이 없나? 다른게 아버지를 대체하고 있는 거겠지” 선생님의 대답은 유머러스하고 명쾌한 설명이었다고 생각..

합극(合剋), 형충회합(刑冲會合): 사건, 사고를 해석할 때

시일월년 辛甲丁己 未寅丑亥 1.天干 합극(合剋)의 흐름을 본다(일간 기준의 순서로 본다). 1)일간 甲이 己와 合을 해석하며(甲己合) 2)일간 甲이 丁에 生을 해석하고(甲生丁) 3)辛이 일간 甲에 剋을 해석하며(辛剋甲) 4)丁이 辛에 剋을 해석하면서(丁剋辛) 5)丁이 己에 生을 해석해야 한다(丁生己). ※해석 순서 중 干合이 최우선이다(甲己合). 干對干合, 干對地藏干合 2.地支의 형충회합(刑冲會合)을 관찰한다. 일간 기준으로 보므로 일지 寅에서의 合刑冲을 먼저 본다. 1)寅과 亥의 合과 破를 먼저 해석한다.(寅亥合破) 合破로 결과가 좋지 않다는 것을 염두에 두라 2)亥가 動해 未와 合을 해석하며(亥未合) 3)未가 動해 丑과 冲을 해석하며(丑未冲) 4)亥와 丑에 빠진 子가 있는 것을 해석한다. 순서도 중요..

사계단법 활용 사주 해단

庚辰日에 모친이 와서 딸의 사주를 봤다 [사주] 辛 辛 甲 癸(坤) 卯 巳 子 亥 日辰 凶 大凶 庚 寅 丑 子 亥 戌 酉 軌 實 花 苗 根 暗 申 未 午 丑 辰 卯 大吉 吉 1.“똑똑하고 일 잘하고 참 좋다. 그런데 돼지띠 남자 만나면 절대 안된다.” 1)“아이고 안 그래도 지금 만나는 남자가 돼지띠인데 꼴 보기 싫어 죽겠습니다.” 2)“그런데 딸은 그 돼지띠 남자와 헤어질 마음이 없습니다.“ 3)“맞습니다. 둘다 좋아 죽습니다.어쩌면 좋죠?” -이 사주가 돼지띠 만나면 망하기 때문에 만나지 마라고 이야기한 것인데 맞았다.“ 2.왜 똑똑하고 일 잘하는가? 1)사주가 食神格이다. 2)食神格에 財星을 보면 成格이다. 食神生財格이다. 3)그리고 巳가 일지에 正官을 딱 깔고 있다. -요조숙녀다. 착하고 똑똑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