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坊哲學院

분류 전체보기 1281

유금 인자론(酉金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 ■酉 因子1.치아2.酉 →酒, 독설, 막말  1)독설을 나타내는 것을 짐승 닭에 비유한 것이다.  2)酉 띠가 독설(말이 세다), 아니면 목 쳐들고 핏대 세워 말한다.  3)항의 하고 지랄한다. 술 마시고 지랄한다.  4)酉의 앞에다가 氵를 붙이면 酒가 된다.   -그래서 사주가 酉가 많으면 술과 인연이 있다.     이 부분은 여러분의 주변을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5)닭은 모이를 먹을 때 콕콕 쪼아 먹으니 독기 서린 목소리 또는 투서 사건 콕콕 쪼우듯이 ..

부모복이 없는 사주

다음은 카페 자연의 소리에 통변연습 자료로 발제된 사주 명조입니다.저의 생각을 나름대로 서술해 보고자 합니다.  時日月年壬壬辛癸  乾寅申酉未이 사주의 친모는 이 사람을 생산한 후 바로 다른 남자와 바람이 나서 도망했습니다.그래서 아버지는 이 사람을 친척집에 맡기고 다른 여성과 가정을 꾸렸으나 그 역시도 오래가지 못했습니다.이후 아버지는 또 다른 여성과 가정을 꾸리게 되었습니다.출처: 카페 “자연의 소리” 의 사주명리학자유토론/문답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이명조의 전반적인 면을 살펴보면 인수태왕(印綬太旺: 辛, 申, 酉)에 재성(未中 丁火, 寅중 丙火는 寅申冲으로 깨짐)이 태약(太弱)하며, 인수(印綬)인 일, 월지 申, 酉가 공망이며 일지가 효신살(梟身殺)인점, 그리고 월지가 도화(桃花)에 해당되고 있..

신금 인자론(申金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申 因子1.영감(靈感)이 뛰어나다. 특히 日支에 있을 경우 더 작용이 크다.2.우물속의 두레박이 上下로 움직이는 모습이다.....상통하달(上通下達)  1)신(申)...神  2)상통하달...대리인, 무속인, 도매업3.소통, 통신, 문서(문서는 하달 문서이다.)4.申(壬): 바위틈의 샘물 →쇠 속에 물이 들어 있는 것(쇠, 물이 움직이는 것)  1)엘리베이터, 지하로, 수로, 철로, 지하철, 세차장(자동세척), 정거장, 터널, 동굴  2)卯(차축)+申(車): 자동차..

미토 인자론(未土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未 因子1.위장2.未 →味 : 木+一(멈추다, 모으다)=未(나무가 성장을 멈추다)→맛이 깃들기(맛을 모으기)시작한다. 익어간다. 미각 맛은 申酉戌에 있다3.소통, 중개4.未를 味(맛 미)로도 보기 때문에  1)조미료, 맛을 내는 인자. 맛, 식당, 음식  2)그리고 未를 보면 묶인 모양이라 저당 잡히는 것으로 본다.그래서 亥卯未 날에는 저당 잡히는 일이 있으므로 저당 잡히지 않도록 신경써야 한다. 亥卯未 날에는 개인간의 거래를 하면 안 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

과숙살(寡宿殺)에 대한 고찰

다음의 사례는 최국봉 지음 ”계의신결(稽疑神訣)“과 이원근 지음 ”사주하지장(四柱何知章)“에 설명된 동일 명조의 사주 해단 사례입니다[계의신결 예제](坤命)辛未 12月 1日 辰時生시일월년丙戊辛辛     丁丙乙甲癸壬(10대운)辰辰丑未     未午巳辰卯寅이명조는 세 번 결혼하여 아들 3형제를 두었으나 공교롭게도 아들을 낳는 해에 남편이 모두 급사(急死)한 사주다.辰未中에 乙木 正官이 암장(暗藏)되여 있는데 辛金인 자식이 태어나면 乙木을 剋하는 고로 자식을 낳는 해마다 남편을 사별(死別)하였다고 볼 수 있다. 長子는 壬辰生이고, 二子는 戊戌生이며, 三子는 癸卯生이다.출처: 최국봉 지음 “계의신결(稽疑神訣)에서 발췌 →p215 [사주하지장 예제](坤命 生子別夫)시일월년丙戊辛辛 辰辰丑未 아들 3형제를 두었는데 상..

오화 인자론(午火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午 因子1.심장2.矢(화살 시)가 날아가는 모습 →직진성, 뛰어가는 모습, 속도감 있다. 게으름(지나치게 조심스러워서), 자기 잘못, 돈이 안된다 →게으름, 일하기 싫다.3.午을 娛(즐길 오)로도 해석하기도 한다.  1)그래서 地支에 午가 두 개 있으면 노는 데는 소질이 있다.  2)午가 운시(運始)일 경우에는 정신이 혼미해질 수 있고 미인이 많기도 하다.4.午 大運에는  1)부도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을 줄이고  2)위임,, 대리인으로 인한 손실 발생 →..

기구(崎嶇)한 운명(運命)

다음은 카페 자연의 소리에 통변연습 자료로 발제된 사주 명조입니다.이 명조를 통하여 왜 이러한 기구한 운명을 살아야 했는지에 대하여 저의 생각을 나름대로 서술해 보고자 합니다.           다         음時日月年丁甲乙戊        坤卯午丑戌아버지가 누구인지 모르는 사생아입니다.어머니가 기생으로 일하던 시절 만난 남성과의 사이에서 생산되었습니다.본인도 청소년 시절 이미 몸 파는 매춘을 했었습니다.출처: 카페 “자연의 소리” 의 사주명리학자유토론/문답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1.모친이 기생이었던 점  1)명암부집(明暗夫集)하거나 관살혼잡(官殺混雜)한 곤명(坤命)인 경우에는 서비스, 접객업, 화류업 등 恨을 안고 사는 삶일 경우의 수가 크다고 볼 수 있는 가운데  2)이명조에서 보면 월지 丑中..

사화 인자론(巳火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巳 因子뱀, 도로(꾸불꾸불), 약(의학), 도심지, 번화가(번쩍번쩍)1.소장2.머물러 있다, 모여 있다, 출발(출발점, 준비단계: 부정출발)묵직함이 있다 →교통, 도로.3.巳는 뱀이다  1)뱀은 혀를 날름날름하니 구설수가 많다.  2)뱀은 기어 다닌다. 배로 기어 다니니 배에 마찰이 생겨 배가 따듯할 것 같지만 오히려 배가 차다. 巳가 있으면 배가 차다.  3)巳는 종점, 정거장, 부업, 품앗이, 염증, 독성, 이빨로도 본다.4.이빨 빼는 날: 巳, 午日5.장 ..

교통사고로 식물인간이 되다

다음의 사례는 최국봉 지음 계의신결(稽疑神訣)에 설명된 사주해단 사례입니다.이 예제를 통하여 몇 가지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계의신결 예제](乾命)시일월년乙丁甲戊      庚己戊丁丙乙(2대운)巳卯寅申      申未午巳辰卯이 명조(命造)는 교통사고로 식물인간(植物人間)이 된 사주다.丁火일주가 寅月에 생하여 인수격(印綬格)이 되었다. 柱中에 木氣가 태강(太强)하여 목다화식(木多火熄)하므로 財로써 파인(破印)하여야 발복(發福)한다. 年支 申金으로 用할 수 있으나 寅月 절지(絶地)를 만나 寅巳申 三刑이 되었고 오직 戊土에 의지하여 생기(生氣)를 받으나 甲木이 戊土를 剋하고 있다. 17세 되는 甲子年 己巳月 丁巳日에 자전거를 타고 가다 버스와 충돌하여 겨우 생명은 잃지 않았으나 전신이 마비되어 지금까지 식물인간이..

진토 인자론(辰土 因子論)

여기에 서술하는 因子論은 설진관 편저 “명리학 실무대강” 3권에 수록된 내용을 옮겨 적고 있습니다.“因子論은 지지의 특성과 象意가 표현된 것으로 많이 읽고 암송하면 실무에 큰 도움이 된다.”-"명리학 실무대강의 지지 인자의 성정론” 본문 중에서-■辰 因子끈적끈적하다(癸똥장군), 무시하다. 불평불만, 똥물, 진흙탕1.피부, 위장2.辰은 土이지만 申子辰 삼합으로 辰을 水의 庫로도 본다.  1)辰 속에는 乙, 癸, 戊가 있는데 癸를 생선으로도 보니  2)辰을 수산시장으로 보기도 한다.3.장사를 할 사람은 시장을 끼고 장사를 하면 좋다.  1)辰을 백화점, 마트, 수족관, 물탱크, 거름 밭(똥통), 어항, 냉장고  2)물류창고, 건어물, 주유소 등으로 보기도 한다.4.辰을 거짓, 위조, 모방, 발명, 히트,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