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재괴인(貪財壞印)⇨ 財를 탐내어 인수가 파괴된다는 뜻이다.
⦿인수는 생아지신(生我之神)이요 財는 아극지신(我剋之神)인데, 그 財는 인수를 극한다.
▬그런데 인수는 文星. 교육. 종교성이요, 財는 재물이므로
財旺즉 文星이 몰하고, 文星이 旺함은 財가 없는 까닭이다.
▬그러므로 돈 많은 부자는 글이 풍부하지 못하고
글이 많은 학자는 돈이 풍부하지 못한 원리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고로 학자나 문인이 재물을 탐하면 명예가 손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수 용신(신약사주)으로 이루어진 官公吏는 財운이 오면 재물(수뢰)죄를
범하기 쉬운 것이다.
⦿가령 甲日의 인수는 水요 財는 土인데, 그 土財는 水印綬를 극하기 때문에
인수가 용신으로 선정되었을 때 柱中에 財가 있으면 그것을 "탐재괴인"이라 하여
병으로 취급하는데, 다시 財운이 오면 病重하여 위명(危命)하게 된다.
⦿고로 연해자평 인수시결(印綬詩訣)에서 “운약거재에 환작복이나 재행재 운이면
수원종(運若去財에 還作福이나 再行財運이면 壽元終)”이라 하였다⇨.
운에서 만약 財를 제거해준다면 돌이켜 복을 이루지만
다시 財운으로 간다면 목숨의 근원이 끊어진다.
⦿이와 같이 印綬는 財를 大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 외에 "재인불애財印不碍(財와 印星이 동림同臨하여도 장애가 없음)."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휘상영(江暉相映) (0) | 2020.08.01 |
---|---|
형전형결(形全形缺) (0) | 2020.07.31 |
파료상관(破了傷官) (0) | 2020.07.29 |
철쇄개금(鐵鎖開金) (0) | 2020.07.28 |
축수양목(蓄水養木) (0) | 2020.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