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한지동天寒地凍⇨ 하늘은 차고 땅은 얼었다
◉하늘은 차고 땅은 얼었다는 뜻은 冬月을 말함인데,
亥. 子. 丑月이 되면 천후(天候)는 매우 차고 땅은 얼음이 얼어서 모든 만물이
동결되어 극히 냉한해진다는 뜻이다.
◉특히 庚.辛 일주나 壬. 癸일주는 金. 水로써 냉한한 星이 있는데
▬壬. 癸일주나 庚. 辛일주에 출생하고
천간이 다시 庚. 辛 혹은 壬. 癸 가 사주 간두에 나타나 있으면 천한(天寒)이라 칭하고
▬또 지지에 丑月에 나면 凍土 또는 지동(地凍)이라고 하는데
꼭 丑土月에 나지 않고 子月이나 亥月에 낳아서도 사주에 일무화기(一無火氣)면
땅이 어는 때가 되어 지동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는 때에는 火로 녹여 양열(凉熱)로 조화하고, 심히 燥할 때에는
濕으로써 조화시켜 그 중화의 道를 用함이 용신 정법의 원칙이므로
천한지동의 계절에는 火를 심히 요구하게 되는데
▬만약 丙丁 또는 巳. 午. 未. 戌의 火가 있으면 그 火를 동일(冬日)에 과연
귀엽고 사랑스러운 존재라 하여 「동일가애冬日可愛」라고 부르는 것이며,
▬또 丑月이라던가 기타의 土로 冬月은 동토(凍土)로 보다가
火를 만난 土는 미온지토(微溫之土)라고 하여 그 土도 가애(可愛)로 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의 천한지동이 火를 만나 미온하여 지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그 격이 변화되는 것이니 그 원리를 잘 알아야 할 문제이다.
※천한지동에 난변해동인데 해즉발귀하고 동즉난영이라(天寒地凍 難辨解凍
解則發貴 凍則難榮)⇨ 천한지동에 해동을 시키기가 어려운데 해동이 되면 귀하게 되고 얼면 영화롭게 되기가 어렵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기왕래(眞氣往來) (0) | 2020.07.22 |
---|---|
추수통원(秋水通源) (0) | 2020.07.20 |
천지덕합(天地德合) (0) | 2020.07.18 |
진법무민(盡法無民) (0) | 2020.07.17 |
전이불항(戰而不降) (0) | 2020.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