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사례는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 설명된 재계 대표자 사주해단 사례입니다. 이 부분을 화위론(化爲論)과 신살(神殺)을 적용하여 접근해 보았습니다.
다 음
4)삼합재국(三合財局)하고 재자약살(財滋弱殺)者
삼합재국(三合財局)하여 재자약살(財滋弱殺)이란, 신왕사주(身旺四柱)가 官이 쇠약한 경우 三合 또는 半三合의 財局(재국)을 이뤄 재자약살(財滋弱殺)하는 경우로써 선재후명(先財後名)하며 그 명주는 크게 행복하다.
[乾命]
시일월년
壬戊戊甲
子申辰午
※득령(得令), 득세(得勢)한 사주로 甲木이 미약하여 재자약살(財滋弱殺)하는 수국(水局)을 이뤄 재벌이 된 사주다.
5)삼합재국(三合財局)하고 봉록(逢祿)자란, 삼합재국을 이루면 재왕(財旺)인데 일주가 녹(祿)을 놓으면 신왕(身旺)이 되므로 능히 왕재(旺財)를 감당할 만하여 대부격(大富格)이 된다고 추리한다.
[건명]
시일월년
丁庚丁乙
亥申亥卯
※庚申日生으로 전록격(專祿格)에 亥卯亥로 삼반합회국(三半合會局)을 이뤄 한국 제일의 갑부가 된 정주영 회장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생각
4)항의 경우
▶申子辰 삼합을 이룸으로써 식상(食傷)이 재(財)로 변하여 식화위재(食化爲財)의 현상이 나타나므로 사주 내에 이런 현상(食化爲財)이 있으면 요령이 좋으며, 유능한 사업가이고, 자금융통을 잘 하고, 하는 일마다 돈이 샘솟듯이 생긴다고 풀이 할 수 있으며
▶일지(日支) 申이 천주귀인(天廚貴人)에 해당되어 일생동안 의식이 풍족하고 뜻을 세워 재물을 구하면 억만장자 갑부가 되는 좋은 길신으로써 천주귀인(天廚貴人)이 사주 내에 자리하고 있어서 재벌이 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5)항의 경우
▶亥卯 半合을 이루면서 이 또한 식상(食傷)이 재(財)로 변하여 식화위재(食化爲財)의 현상이 나타나므로 사주 내에 이런 현상(食化爲財)이 있으면 요령이 좋으며, 유능한 사업가이고, 자금융통을 잘 하고, 하는 일마다 돈이 샘솟듯이 생긴다고 풀이 할 수 있으며
▶년지(年支)와 시지(時支) 亥가 천주귀인(天廚貴人)에 해당되어 일생동안 의식이 풍족하고 뜻을 세워 재물을 구하면 억만장자 갑부가 되는 좋은 길신으로써 천주귀인(天廚貴人)이 사주 내에 자리하고 있어서 재벌이 된 것이라고 추론해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적으로 이 명조를 일부에서는 時柱 丁亥를 丁丑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주명리 > 동방철학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혼(再婚) (0) | 2023.06.20 |
---|---|
국제변호사 (2) | 2023.05.20 |
배우자와 이별하고 스님이 되다 (0) | 2023.04.21 |
승진 탈락 (0) | 2023.04.13 |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주 (0)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