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 박재완 선생님의 저서인 "命理實觀"에 설명된 인연에 관한 부분을 왜 이러한 인연과 만나야 하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나름대로 考察해 보고 있습니다.
[명리실관 예제]
(坤命)
戊 壬 丙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1대운]
申 戌 辰 子 酉 戌 亥 子 丑 寅 卯
맑은 물의 근원이 있고 솟구쳐 흐르는 물은 때가 있다. 殺印相生하니 부귀 운을 맞는다. 학문 또한 우수하여 일찍이 녹을 먹는다.
사람이 모두 착하다 칭하며 결혼은 늦게 될 것이다. 원숭이, 닭띠 중에 배우자를 선택함이 최길이나 여의치 못할 때는 秋冬에 태어난 사람도 좋다.
자식이 하나라고 하지말라. 一當百이리라.
※명리실관에서는 이 배우자 인연을
왜 원숭이(申), 닭띠(酉)가 최길이냐 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없습니다.※
※동방철학원 생각※
[이 사주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배우자 인연을 살펴 보면]
1."及身而止하면 食神定配한다" 인연으로
사주의 기운이 일간 壬에 모여 멈추고 있으므로 이 정체된 기운을 설기하는 食神인 甲,乙과의 인연으로 4년 연상 甲申생 또는 3년 연상 乙酉생과의 인연이 될 수 있습니다.
2."七殺得勢하면 制殺定配한다" 인연으로
천간의 2개의 戊토와 지지 戌중 戊토, 辰중 戊토등 칠살이 득세하고 있으므로 이 강한 칠살을 制殺하는 甲,乙과의 인연으로 이 또한 甲申생 또는 乙酉생과의 인연이 될 수 있습니다.
3.."柱中二字이면 合冲定配한다" 인연으로
천간의 2개의 戊토와 합하는 癸수와 인연하게 되므로 5년 연상인 癸未생과의 인연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4."坐下配星이면 透出定配한다"인연으로
일지 戌 중 戊토를 투출 시켜서 동갑인 戊子생과의 인연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왜 명리실관에서는유독 원숭이띠(申)와 닭띠 (酉)를 거론했을까요?]
1.사주구조상 짜임으로 볼 때 木이 없고, 金기운이 弱하며 기운이 정체 되어 있는데
1)甲申생과 乙酉생과 인연이 되면 없고 약한 木과 金의 기운을 보충하면서 더불어
2)甲, 乙목생과의 인연이 되면 시간 戊토에서부터 년간 戊토까지 土生金→金生水→水生木→木生火→火生土로 사주가 막힘이 없는 좋은 모습의 사주로 변화하게 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원숭이띠와 닭띠와의 인연이 最吉의 인연이라고 추리해 봅니다.
2.癸未생과도 인연은 될 수 있으나 戊癸합으로 칠살을 합거하는 得은 있으나 천간으로 丙+癸의 단점, 壬+癸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에서도 戌未刑, 子未 원진, 귀문, 상천의 단점이 크므로 인연으로는 악연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명리실관에는 어떤 띠가 좋다는 말씀은 많은데
왜 그런지에 대한 해설이 전혀 없어서 인연법을 적용하여 해단해 보았습니다.★
'사주명리 > 인연법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 6 (1) | 2022.10.08 |
---|---|
배우자 인연에 관한 고찰 5 (0) | 2022.10.04 |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4 (0) | 2022.10.02 |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 2 (0) | 2022.08.03 |
배우자 인연에 대한 고찰1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