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空亡의 이해와 실전활용
각자가 공부한 도서 및 역학자들의 이론을 존중한다. 단지 그 이론을 근간하여 아래 공망을 표출하는 기준을 활용하길 기대한다. 본인의 내용이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에 지나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로 소개한다.
2.空亡의 진실? 空+亡
1)空亡이란 空亡을 한 단어로 보고 空과 亡의 합친 것으로 보고 있다.
가.空:비어 있다. 없다. 亡:망하다. 잃다.
나.空亡은 “비어 있고 망했다” 라고 하여 실패하고 작살난 것으로 해석하여
“-재성이 공망이면 재물이 비어 있고 망하여 재물이 실패하고 안 된다.
-관성이 공망이면 직장, 명예가 비어 있고 망하여 실패하고 안 된다.
-인성이 공망이면 학업이 비어 있고 망하여 학업이 실패하고 안 된다.
-비겁이 공망이면 형제, 동업이 비어 있고 망하여 형제간 우애가 없고 친구간 동업은 실패하고 안 된다.“ 라고 일반적으로 의미를 정의하고 있다.
2)空亡에 대한 의미를 위와 다른 시각으로 보면
가,空亡이란 하나의 단어가 아니고 “空”과 “亡” 두 단어로 된 것이다.
-空은 “비어 있다. 없다”는 글의 의미가 아니고 원래의 뜻인 “끊임 없다. 무한대. Endless”로 영원불멸의 뜻이다.
-亡은 “망했다”는 글의 의미가 아니고 “아쉬움, 미련, 그리움, 원망”의 뜻으로 “空” 그리고 “亡”으로 보아야 한다.
나,따라서 空亡이란 “끊임없다. 무한대” 그리고 “아쉬움, 미련”이라는 것으로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아쉬움, 미련을 갖는다”라는 뜻이다.
[比劫이 空亡이면]
형제, 동료, 자존감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아쉬움, 미련을 갖는다.
형제, 친구, 자존감, 자존심에 대해 끊임없이 갈망한다.
단체에 종사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食傷이 空亡이면]
표출, 표현하는 것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아쉬움 미련을 갖는다.
표출함, 표현에 대한 끊임없는 갈망을 한다.
열심히 하고 타인의 인정을 받아도 본인은 만족하지 못한다.
운동선수, 달변가, 예술가 등에서 식상공망인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財星이 空亡이면]
재물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하고 갈망하며 아쉬움과 미련을 갖는다.
재물(금전, 여자)에 대해서 끊임없이 갈망하면서 미련과 아쉬움을 가지게 된다.
[官星이 空亡이면]
직장, 명예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아쉬움과 미련을 갖는다.
직분, 명예에 대한 미련, 아쉬움, 갈망을 갖는다.
일반적인 공망 이론대로라면 관이 공망이면 관, 벼슬, 명예와 인연이 없어 안 된다 하는데 고위직, 검찰 고위직, 군장성(명예) 등에서 官星空亡인 사람들이 많다.
官이 空亡이라 官, 벼슬에 대해 끊임없이 갈구하므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 있을지라도 미련과 아쉬움으로 더 높은 자리를 갈구하여 관, 벼슬, 명예를 가지려 한다.
[印星이 空亡이면]
학업, 학문에 대해 끊임없이 추구, 갈망하고 그렇게 많이 공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쉬움과 미련을 갖는다.
학업, 학문, 모친에 대한 끊임없는 갈망과 미련을 갖는다.
학자, 대학교수 등에서 印星空亡인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空亡이 추구, 갈망하는 것에 대하여 희기 및 성패의 문제는 상론, 격국론, 용신희기론, 형충회합 등의 이론으로 판단한다.
공망은 “없다”라는 편견으로 단정하지 말고 “끊임없이 추구하고 아쉬움, 미련을 갖는다”라는 뜻이라는 것을 잊지 말길 바란다.
출처: 윤경선 김초희 김재근 조소민 편저 “야학신결”에서 발췌
'사주명리 > 사주통변시 참고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양(陰陽)의 균형 (0) | 2022.06.29 |
---|---|
건록격(建祿格)사주의 통변 (0) | 2022.06.18 |
남편과 사별한 여인 (0) | 2022.06.13 |
박복한 여성 (0) | 2022.06.07 |
재물을 두고 싸운다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