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원갑자三元甲子(상원갑자上元甲子. 중원갑자中元甲子. 하원갑자下元甲子)
⦿태양계에는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 명왕성, 천왕성, 해왕성이 있는데,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목성~수성 5개의 별이 지구에 대해 지대한 자기적磁氣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행으로 木. 火. 土. 金. 水를 차용하여 운용하고 있다.
⦿木. 火. 土. 金. 水에는 陰과 陽으로 구분되어
10개의 천간(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이 있으며,
여기에 지지 12개를 만들어 60甲子를 만들었다.
그런데, 60甲子에는 上元甲子, 中元甲子, 下元甲子라는 것이 있다.
⦿이 원리를 살펴보면 태양계 별 중 멀리 있는 명왕성, 천왕성, 해왕성을 빼고
태양, 지구, 달, 木~水星까지 일직선상에 놓여 있는 시점이 있는데,
이때가 180년 마다 1회 있다는 것이다.
⦿이 기간을 3등분 하여 上, 中, 下元甲子로 분류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세종대왕 시 중국 역歷을 벗어나면서
우리나라 고유 역을 만들어 上, 中, 下院甲子로 구분 하여 사용해 왔다.
⦿1元인 上元甲子는⇨ 1864년 甲子年~1923 癸亥年 까지이고
2元인 中元甲子는⇨ 1924년 甲子年~1983 癸亥年 까지이고
3元인 下院甲子는⇨ 1984년 甲子年~2043 癸亥年 까지이다.
'사주명리 > 사주명리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상생(循環相生) (0) | 2020.06.29 |
---|---|
수화기제(水火旣濟) (0) | 2020.06.27 |
자오쌍포(子午雙包) (0) | 2020.06.25 |
상관견관(傷官見官)과 상관상진(傷官傷盡) (0) | 2020.06.24 |
삼기득위(三奇得位) (0) | 2020.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