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살( 孤辰殺 )은 해당 명조의 년지 기준하여 방합국(方合局)의 다음자가 고신살에 해당되는데, 예를 들면 寅卯辰年생인 경우에 巳가 고신, 巳午未年생인 경우에는 申이 고신, 申酉戌年생인 경우에는 亥가 고신, 亥子丑年생인 경우에는 寅이 고신에 해당되게 됩니다.
이 고신살은 乾命에게 적용되는데 상처살 또는 홀아비살이라고도 합니다. 이 살이 있으면 상처하거나 아내와 이별한다는 좋지 않은 면을 가진 神殺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고신살과 관련된 몇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런 사례들을 접하면서 神殺에 대해서도 무시하거나 묵과하지 말고 눈여겨 볼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을 해 봅니다.
[ 孤辰殺 과 본처와 이별한 사주]
1.乾命
시일월년
庚己癸丙
午亥巳戌
己亥일생으로 時上偏官을 놓고 재성이 불균하여 본처 이별한 사주다. 土日 火多 者도 본처난해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의견)
배우자궁 일지가 巳亥冲을 하고 있고, 또한 일지 亥가 申酉戌年 방합의 다음자로써 孤辰殺에 해당되어
본처해로 하지 못하고 이별한 것으로 해단해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乾命
시일월년
壬丙戊庚
辰寅寅子
丙일 壬시로 日時相沖에 庚金 財가 무근하고 身旺하여 정치학 박사로 본처와 이별한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의견)
일지 寅이 亥子丑年 방합의 다음자로써 孤辰殺에 해당되어 본처와 해로하지 못하고 이별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乾命
시일월년
己辛丙己
亥巳子卯
辛巳일생으로 亥시가 되어 日時相沖이라 본처와 이별한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의견)
일지 巳가 寅卯辰년 방합의 다음자로 孤辰殺에 해당되어
본처와 해로하지 못하고 이별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4.乾命
시일월년
戊庚辛丁
寅申亥巳
庚申일 생으로 干與支同에 妻財星이 刑冲이라 본처 이별하고 재혼해도 사별한 사주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동방철학원 의견)
일지 申이 巳午未年 방합년의 다음자로써 孤辰殺에 해당되므로
본처와 해로하지 못하고 이별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사주명리 > 동방철학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 사주 고찰: 정주영 회장 (2) | 2024.05.02 |
---|---|
재벌 사주 고찰: 이병철 회장 (2) | 2024.05.01 |
실명(失明)의 원인 (0) | 2024.04.09 |
갑진년(甲辰年) 신수: 이혼할까요? (4) | 2024.03.11 |
의대교수(醫大敎授: 醫博) (2) |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