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이 子를 만나면]
1.正印(六親), 沐浴宮(胞胎법)
2.水生木(상생상극에서 연결)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冬木(동목)과 濕木(습목)이 되고(건강관계를 볼 때 볼 때 쓰는 용어)
-浮木(부목)(떠돌이 생활)
-음지나무다(여자는 소실이다. 음지에서 살아야 한다.)
3.水는 수목응결로 水生木하면 凝結(응결)이 된다. 신경이 굳는다.
▶심하면 저능아 된다. 말 못 한다.
4.甲子일주, 甲=風, 子=北이니 겨울은 차갑고 눈이 내린다.
즉 북풍한설이라는 용어가 만들어 진다.
5.甲子일주는 어렸을 때 병이 많았다.
-印綬인데 북풍한설이니 엄마가 좋은 역할 못 하고 부모덕이 없다.
-여기서 甲木은 木剋土는 잘하나 木生火는 잘 못한다.
▶물에 젖어 있는 나무니까.
▶다만 火를 동반한다면 충분히 木生火 한다.
시 일 월 년
丙 甲 ○ ○
寅 子 ○ ○ ※나무에 꽃이 피었고
-양지나무가 되어서 훈풍으로 바뀌니 꽃이 피고 새가 운다.
-寅木이 있으니 안 떠내려가서 좋다.
-만약 子년이나 丑년에 甲子일주가 身數 보러 와서 선생님 언제 좋아지겠어요? 하면
▶당신은 寅년에 가서야 꽃 피고 내가 설 땅을 찾게 되고 뿌리 내리겠다고 하라.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사주명리 > 생일로 풀어보는 운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진일주(甲辰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辰을 만나면 (2) | 2023.01.03 |
---|---|
갑인일주(甲寅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寅을 만나면 (0) | 2023.01.02 |
기해일주(己亥日柱) 통변시 참고: 己가 亥를 만나면 (0) | 2022.12.31 |
정해일주(丁亥日柱) 통변시 참고: 丁이 亥를 만나면 (0) | 2022.12.30 |
계사일주(癸巳日柱) 통변시 참고:癸가 巳를 만나면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