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比肩, 冠宮, 濕木으로 木生火가 어렵지만 착근은 잘한다.
-바람이 심하다.
-濕木(습목)이므로 음지나무다.
2.乙卯는 木生火는 잘 못한다.
-木生火 하려면 乙木이 말라야 하므로 몇 달은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乙이란 生木에게 火라는 꽃은 잘 피어난다.
시 일 월 년 시 일 월 년
○ 乙 ○ ○ ○ 乙 ○ ○
○ 卯 未 亥 ○ 卯 亥 未
※둘 중 어느것이 더욱 좋겠는가?
-계절을 살펴보라
-未月의 八字가 더 좋다.
3.干與支動(간여지동)이다.
-천간과 더불어 지지가 같은 오행으로 되어 있다.
-형제를 한 자락씩 깔고서 산다.
-부부궁이 나쁘다.
▶밖에서 놀다가 日支인 내방으로 가서 자고 나니 내 마누라, 내 서방이 아니더라.
▶또한 형제 한 자락 깔고서 사니 마누라가 말하기를 ‘나보다 당신 형제가 더 좋아?’ 라고 투정한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사주명리 > 생일로 풀어보는 운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미일주(乙未日柱) 통변시 참고: 乙이 未를 만나면 (0) | 2023.01.10 |
---|---|
을축일주(乙丑日柱) 통변시 참고: 乙이 丑을 만나면 (2) | 2023.01.09 |
갑신일주(甲申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申을 만나면 (0) | 2023.01.04 |
갑오일주(甲午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午를 만나면 (0) | 2023.01.04 |
갑진일주(甲辰日柱) 통변시 참고: 甲이 辰을 만나면 (2) | 2023.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