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偏財(편재): 가을나무, 無根(뿌리 못한다. 燥土이므로) 土多木折
2.傷食庫(상식고): 자손들이 몰려온다. 자식 끼고 산다.
3.甲戌일주는 뿌리 못하고 있는 나무이다.
-여자는 남의 자식 키워 주고 두 성의 자식을 낳는다.
-傷食庫藏으로 애가 들어서기도 잘 들어선다.
4.甲戌일주는 貪財欺夫(탐재기부) 일주다.
5.戌은 燥土이고 9월은 乾燥(건조)의 계절이다.
-고로 가을 출생자는 건성 피부다.
▶살결이 하얀 사람은 모두 건성 피부로 보기 좋은데 만져보면 빳빳하다.
▶金은 쇳덩어리이므로(검은색 피부가 감촉 좋기로는 1등이다) 백납, 비듬, 냄새가 많다.(이것이 서양에 향수가 발달한 이유다. 황인종은 냄새가 좋다.)
6.戌은 燥土라서
-木인 바람과 함께 사라진다.
-戌이 돈이라면 모래성 쌓기다. 잘 살만하면 재앙이 온다.
-고로 목표를 100으로 치면 50으로 만족하라는 것이다.
7.庚辰年에 甲午生이면 47살이다.
-45살 戊寅年에 寅午火局으로 되어서 자식 낳고 살았다.
-火가 局을 이루니 자식 생겨 오는 해이다. 팔자 도망 못간다.
시 일 월 년
○ 甲 丁 甲
寅 戌 卯 午
※年支 午가 자식으로
-먼저 남자와 살다가 자식 둘 낳고서
-나중 남자 만나서 딸만 둘 낳았다.
-언제나 자식과 만나서 살아 보나? 항시 그 생각뿐이더라.
8.戌: 火山: 뾰족뾰족한 산(관악산이 火山이다)
9.辰: 水山: 물 나오고 예쁜 산
10.丑: 金山: 각이 져 있거나 바위가 많은 산
11.未: 木山: 산이 길다.
12.土山은 넓고 높은 고원이다.
13.광화문의 해태(바다사라고 부적이다)는 관악산이 火山으로서 서울에는 큰 불이 많이 나서 예방하기 위해 세워둔 것이다.
출처: 현정 신수훈 편저 “진여명리강론”에서 발췌
'사주명리 > 사주통변시 참고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행어사 박문수 (0) | 2023.02.02 |
---|---|
이순신 장군 사주 (0) | 2023.01.28 |
신왕관왕격(身旺官旺格) 사례 (0) | 2022.12.16 |
선탁후청(先濁後淸) (1) | 2022.12.13 |
재살태왕격(財殺太旺格) 사주사례 (0) | 2022.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