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일월년
丙戊壬乙(乾) 癸甲乙丙丁戊己庚辛(3대운)
辰寅午亥 酉戌亥子丑寅卯辰巳
그 모친이 방문했다.
상담사: 14세 이후 매사 의욕 부족이 발동해서 공부에서 손을 놨네요.
내방객: 아이고 맞습니다. 그전에는 그러지 않았는데 통 공부를 안 해요
어쩌면 좋습니까?
[통변해설]
남학생이다 경진 대운이 들어왔다,
1.印綬格(인수격) 또는 羊刃格(양인격)으로 볼 수 있다.
1)여기서는 양인격으로 보았다
2)인수격으로 볼 때는 인수격으로 통변하고 양인격으로 볼 때는 양인격으로 통변해야 한다. 분명히 다르다.
3)이 사주는 양인격에 成格이다.
-양인격에는 官星이 뜨는 것이 제일 좋다.
-천간에 뜨면 좋은데 다행히 정관 乙木 相神(상신)이 떴다.
-壬水 財星이 乙木 정관을 生助(생조)해 주고 있다. 상신은 이 格을 살려주는 기운이다.
-양인격 凶格(흉격)에 상신 정관 乙木 덕분에 제대로 된 성격이 되었다.
2.庚辰 대운이 왔다.
1)乙庚合을 한다(년간 乙木과 대운 천간 庚金이 合이다.) 合은 無力(무력)이다.
2)庚辰 대운을 만나면 合去(합거)를 한다.
-合을 하면 “일단 없다”라고 생각하고
-배제하면 된다.
3)양인격이 財(壬水)를 보면 破格(파격)이다.
-학생이 파격이 되면 공부하지 않는다.
-게다가 庚金 식신이 들어와서 食神生財(식신생재)를 해버리니 학생은 공부하지 않고 돈 벌러 다닌다.
-돈을 버는 것은 어른 노릇하는 것이다.
-통변은 “학생에게 學魔運(학마운)이 들었네요.” 손님이 학마운이 뭐냐고 물어본다.
“공부에 魔(마)가 들어 왔다는 것입니다.”
※이하생략※
출처: 설진관 편저 “야단법석 명리학 실무대강”에서 발췌
'사주명리 > 사주통변시 참고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 출산 후 독수공방 (0) | 2023.08.14 |
---|---|
대운의 천간 지지운을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가? (0) | 2023.07.31 |
인연 따라 사주가 변한다 (0) | 2023.07.23 |
배우자의 비밀사연 (0) | 2023.07.11 |
직업(職業) 보기 (0) | 2023.07.01 |